[항구/선착장]
국내에 수많은 항구 중에 여러 볼거리와 주변 문화재 그리고 먹거리까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항구를 꼽으라 하면 주저하지 않고 감포항을 꼽을 수 있다.
감포항은 방파제 등대도 역시 감은사지 3층석탑을 그대로 형태를 본떠 제작하여 항구를 드나드는 어선의 안전과 아름다움을 더하여 지켜주고 있다.
요즘은 어디를 가나 지자제와 해수부가 방파제 등대를 디자인으로 화하여 설치한 후 일반에 공개하고 있는데 보는 이로 하여금 미소를 짓게 한다.
주소 : 경북 경주시 감포읍 감포리
[항구/선착장]
신안 팔금에는 암태도의 오도 등대와 같은 형태의 쌍둥이 형태인 서근등대가 있고, 마주 보고 있는 안좌도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선착장이 원산도항이다.
지금은 선착장의 기능보다는 어부들의 주선장 역할을 하는 작은 간이 주선장으로 바뀌었지만 낚시꾼들의 이동 통로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도초도에서 지나가는 모든 여객선은 오도 등대를 보고 지나지만 원산항은 내륙쪽에 있어 여객선에서는 보이지 않는 내륙 선착장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팔금면 원산리
[항구/선착장]
내우목도는 외우목도에 비해 작은 무인도서 하나가 더 있는 듯한 크기의 마을이다. 집들도 해안가가 아닌 뒤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마을 자체는 그렇게 큰 편은 아니지만 민가가 한쪽으로 모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 선착장은 간만의 차가 심하여 동쪽으로 길게 뻗어 있다.
바다를 끼고 있지만 어업보다는 다리가 이어져 육지가 된 뒤로는 어업 보다는 농업에 주로 종사하는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구대리
[항구/선착장]
신안 안좌도 내에 있는 외우목도는 과거에는 안좌도내에 작은 섬이었지만 지금은 방파제로 이어져 안좌도 내에 속한 부속 마을이 되었다.
작은 섬으로 이루어진 외우목도는 골목길이 몇 개 있을 정도로 작은 섬이었으며, 그 둘레 역시 3개의 코너를 돌면 끝일 정도의 작은 섬이다.
지형상 마치 방파제 같은 기능을 하면서 이루어진 섬인데 이 섬을 지나면 퍼플교로 유명한 반월도로 바로 이어지며, 앞으로 아주 작은 무인도가 두 개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구대리
[항구/선착장]
안좌도는 원래의 모습이 아니라, 두 개의 섬이 합쳐진 섬인데, 간척공사에 의해서 이어진 안창도와 기좌도를 합해 안좌도라는 이름이 생긴 것이다.
높은 산이 많고 넓은 평야는 없으나 간석지를 막았기에 염전 등을 운영해 주민소득은 높은 편이다. 안좌도에는 금산, 구대리, 읍동, 복호, 두리선착장이 있다.
복호선착장에서 중부로를 타고 구대리를 지나면 우목리에 닿는데 그다지 크지 않은 선착장이다. 우목리 역시 예전에는 섬이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구대리
[항구/선착장]
한림항은 도내 서부 지역에서는 가장 큰 항구이기에 언제나 많은 어선과 선박이 기선하고 있으며, 인파가 많이 붐비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트래킹 길로 유명한 비양도를 가기 위해서 한림항을 방문하는 올레객들이 많고, 특히 주변 풍광이 좋아 여행객이 많이 오는 항구이다.
섬이기에 항구가 많은 제주도이지만 한림항은 역사가 깊은 어항이고, 서쪽 동중국해의 황금어장으로 출항할 수 있어 수산업을 위한 전초기지이기도 하다.
주소 : 제주시 한림읍 한림해안로 93
[항구/선착장]
지금은 가파도와 마라도를 가는 모든 배들이 운진항으로 옮겨 운항하고 있지만 몇년전만해도 많은 관광객이 운집하던 선착장이었다.
해변가는 큰 공룡알처럼 마모된 몽돌이 해변에 가득하고 일제강점기의 군사시설인 동굴이 송악산 절벽을 따라 17기가 존재되어 있는 선착장이다.
지금은 동굴의 부식으로 인해 무너짐과 바위 조각의 파편들이 떨어져 낙석 위험으로 관광객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고 해변 역시 이끼에 미끄러짐을 주의해야 한다.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모슬포항
[항구/선착장]
서귀포 방향으로 올레를 걷다 보면 만나게 되는 항구가 바로 대포항인데 옛스러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제주의 모습을 한번 더 볼 수 있는 항구다.
자전거 투어 하시는 분들은 그닷 추천을 하지 않는 길로 유명하지만 슬로로 걷는 이들에게는 볼거리가 많고 주변 맛집이 많아서 시간 보내기에 좋다.
특히 대포항은 사계 가운데 늦가을에 걸으면 그정취가 아름다워서 가을을 느끼기에는 충분한 길로 꾸며져 있는 항구니 한번쯤은 들려볼 것을 권한다.
주소 : 제주 서귀포시 대포동
[항구/선착장]
보길도에 있는 방파제 가운데 4개의 섬을 안고 있는 방파제인데 이곳에 선창이라는 옛지명이 남아 있고 여기에 항구에서 바라보이는 섬은 아름답기만 하다.
특히 보길도를 여행하는 동안 방파제 옆 작은 솔섬은 바닷물에 반영되는 모습이 알려져 사진하는 분들은 한번쯤 들리는 곳 중에 한 곳이다.
특히 4개의 무인도 가운데 옥매도와 미역도는 작은 해변을 안고 있어 입도만 해도 적막한 무인도의 맛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섬이 된다.
주소 : 전남 완도군 보길면 정자리
[항구/선착장]
완도 노화도 여행은 섬 여행을 좋아하는 이라면 한번은 가 보았을 유명한 섬이지만 섬 내에 위치한 미라항은 찾는 이가 거의 없을 듯 하다.
작은 항구로 이루어져 있어 주로 어민들의 수확물을
집하 하는 항구 역할이기에 더욱 그럴 성 싶다. 항구가 알려지게 되는 경우는 거의가 여객선이 드나들어야만 많은 이들에게 인식되기 마련이다.
그렇지만 미라항은 여객선이 드나드는 항구가 아니기에 어민들의 작업이 없는 시간은 주변 자체가 한적하기 그지 없다.
주소 : 전남 완도군 노화읍 고막리 산272-3
[항구/선착장]
완도 보길도의 보죽산을 곁에 두고 국가 어항으로 재도약하는 항구가 있는데 아름다운 풍경을 안고 있어 방문 자체만으로도 힐링이 되는 항구이다.
보옥항은 방파제 우측 암벽이 암석에의 선택적 풍화가 촉진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집단적으로 발달하는 전형적인 타포니 지형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방파제에 설치된 모래시계 등대는 어항의 발전을 모래시계로 재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어 빠른 속도의 발전을 상징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주소 : 전남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
[항구/선착장]
당사도로 들어가는 배는 하루에 2번 있을 정도로 작은 섬이지만 당사도는 마을로 들어가는 선착장과 등대로 바로 가는 작은 선착장이 있다.
주로 마을 선착장을 이용하긴 하지만 날씨가 좋은 날은 이용객이 별로 없어 등대 아래 선착장에 입도를 해주는 것은 선장의 선택이자 권한이다.
당사도는 대부분 어르신이 많이 살기에 바깥 출입이 없다 보니 마을로 들어서도 사람 보기가 힘든 섬 중에 하나인 섬이고, 섬사랑 1호에 손님이 거의 없다.
주소 : 전남 완도군 소안면 당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