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경주역 급수탑은 역은 폐역이 되었지만 철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선로 반대편에 원형 모습대로 그대로 남아 있지만 국가 유산청 등록은 되지 않았다.
증기 기관차는 기차 내에서 갈탄을 태우며 이동하는 구조이기에 증기를 발생시킬 때 연소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급수가 되어야 하기에 기차가 기관구로 입고될 때 급수탑에서 용수를 보충하는 일이 기본이었다.
급수탑 가까이에는 석가탑을 닮은 10층 구조의 무사고 기원탑은 철도 종사들의 무사안녕을 기원하기 위해서 직원들이 설립하였으며 본래 일본인들이 신사참배에 필요한 구조물을 세웠던 자리로 알려져 있는데, 1955년 일제의 잔재를 없애고 열차의 안전 운행을 기원하는 의미로 다시 세운 것이라 한다.
주소 : 경북 경주시 원화로 266
[간이역 시간여행]
경주역은 1918년 11월 1일 협궤선 영업을 시작으로 1926년 서악역과의 통합 등 수차례 증축과 개보수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처음 경주역은 1921년 목조의 한국 전통 양식으로 지어졌다.
현관 지붕은 처마 양단부를 살짝 올린 곡선형 평지붕으로 마치 석탑의 옥개석처럼 보이며, 본관 지붕은 우진각에 정면의 현관 상부 지붕을 한단 더 높여 솟을지붕과 비슷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이는 1936년에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기존 사정리에서 서정리로 경주역을 옮기면서 현대식 경주역사를 새로 신축했기 때문이다. 단층 소규모 건물이 주류였던 그 시절, 거대한 경주역사는 식민지배의 상징적 건물이었던 것이다.
주소 : 경북 경주시 원화로 266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군위군에 있는 화본역은 중앙선의 철도역에 해당하며 얼마전 복선 공사 완료로 폐역이 되었으며 드라마와 영화 촬영지가 된 이후에 많은 이들이 찾고 있는 간이역이 되었다.
역내에는 급수탑이 남아 있으며 문화재로 보호 되고 있지만 여느 급수탑처럼 국가 등록문화재는 아니지만 높이나 규모로 보면 빠지지 않는다.
과거의 급수탑을 일반에게 공개하면서 내부에 천마 조형물과 창밖으로 내다 보는 소녀의 형상을 설치 하여 전시관의 모습으로 탈바꿈 하였으며 우보역과 함께 폐역 된 후로 관광 테마 역으로 최근 개발되었다.
주소 : 대구시 군위군 산성면 산성가음로 711-9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군위군에 있는 화본역은 중앙선의 철도역에 해당하며 얼마전 복선 공사 완료로 폐역이 되었으며 드라마와 영화 촬영지가 된 이후에 많은 이들이 찾고 있는 간이역이 되었다.
역내에는 급수탑이 남아 있으며 문화재로 보호 되고 있지만 여느 급수탑처럼 국가 등록문화재는 아니지만 높이나 규모로 보면 빠지지 않는다.
과거에는 일부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했으며, 군위군 유일의 여객 열차 정차역에 속했으며 중앙선의 복선 전철화와 함께 철로가 의흥면 파전리 방향으로 이설됨에 따라, 우보역과 함께 폐역 된 후로 관광 테마 역으로 최근 개발되었다.
주소 : 대구시 군위군 산성면 산성가음로 711-9
[간이역 시간여행]
군위군에 있는 화본역은 중앙선의 철도역에 해당하며 얼마전 복선 공사 완료로 폐역이 되었으며 드라마와 영화 촬영지가 된 이후에 많은 이들이 찾고 있는 간이역이 되었다.
역내에는 급수탑이 남아 있으며 문화재로 보호 되고 있지만 여느 급수탑처럼 국가 등록문화재는 아니지만 높이나 규모로 보면 빠지지 않는다.
과거에는 일부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했으며, 군위군 유일의 여객 열차 정차역에 속했으며 중앙선의 복선 전철화와 함께 철로가 의흥면 파전리 방향으로 이설됨에 따라, 우보역과 함께 폐역 된 후로 관광 테마 역으로 최근 개발되었다.
주소 : 대구시 군위군 산성면 산성가음로 711-9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군위군에 있는 화본역은 중앙선의 철도역에 해당하며 얼마전 복선 공사 완료로 폐역이 되었으며 드라마와 영화 촬영지가 된 이후에 많은 이들이 찾고 있는 간이역이 되었다.
역내에는 급수탑이 남아 있으며 문화재로 보호 되고 있지만 여느 급수탑처럼 국가 등록문화재는 아니지만 높이나 규모로 보면 빠지지 않는다.
과거에는 일부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했으며, 군위군 유일의 여객 열차 정차역에 속했으며 중앙선의 복선 전철화와 함께 철로가 의흥면 파전리 방향으로 이설됨에 따라, 우보역과 함께 폐역 된 후로 관광 테마 역으로 최근 개발되었다.
주소 : 대구시 군위군 산성면 산성가음로 711-9
[간이역 시간여행]
진주 남문산역은 경전선의 철도역이었다가 새로운 노선으로 이설되어 폐역이 되면서 남문산역은 카페로 새로운 변신을 하게 되었다.
파주시에 있는 경의선의 문산역과 역명이 중복되기 때문에 남부 지방에 있는 문산역이라는 의미에서 남문산역이라 명명되었다.
아직까지 화물 운송을 위한 창고와 화물을 싣기 위해 신설한 높은 콘크리트 운송장이 남아 있어 옛스러움을 더해주는 철로 광장이 되었으며 지금은 진주역까지 연장 개통되었을 때 선로가 이설되어 폐역되었다.
주소 : 경남 진주시 문산읍 동부로 556-14
[정미소(방앗간)/창고 시간여행]
함양 개평 한옥 마을은 일두고택부터 가까운 곳에 남계, 청계 서원이 있어 세계문화 유산 투어를 하는 여행객들에게는 단골 지역이 되고 있다.
작지만 멋진 풍경에 빠져 한참을 바라 보게 만드는 서원 내부는 좌우에 유생들의 공부방이 있어 색다른 서원 맛에 빠져 시간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일두 고택을 들어서기 전 입구에는 아직도 도정을 하고 있는 옛스런 맛을 풍기는 정미소가 있는데 겉 모습과는 달리 내부는 현대식 기계가 갖추어져 도정을 하고 있는 정미소이다
주소 : 경남 함양군 함양읍 지곡면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진주역 차량 정비고는 1925년에 건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붉은 별돌로 건축된 정비고는 현재 아시아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정비고이다.
이 건물은 경전선과 호남선을 개통하면서 진주역에 설치한 차량 정비고이며 아치형 출입구 2개를 나란히 배치하였으며, 중앙 상부에 솟을지붕을 만들기 위해 왕대공 트러스를 변형하여 구성하였다.
건물 정면 가운데 위쪽에는 둥근 창을 있고, 왼쪽과 오른쪽 벽면에는 지붕 트러스를 받치도록 버팀벽을 설치하였으며 벽면에는 한국 전쟁 때의 총탄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어 긴박했던 당시 상황을 전해준다.
주소 : 경남 진주시 강남동 245-225번지
[간이역 시간여행]
진주역은 경전선의 철도역이었으며 고속 전철의 개통으로 지금의 역은 폐역이 되고 방치되었다가 다시 복원화 하여 시민들에게 공원으로 돌려준 역이다.
역사 매표소에서 한국 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으며, 인근에 구 개양역 건물이 남아 있었으나, 진주역 역세권 개발 사업 부지에 포함되어 철거 되었다.
하루 KTX 와 ITX-새마을호, 일부 무궁화호가 이 역을 기·종점으로 운행했으며, 남도 해양 열차 전 열차가 정차할 정도로 운행되었지만 지금은 고속 철도 개설로 새롭게 복원하여 개방되었다.
주소 : 경남 진주시 개양로116번길 33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소돌항 수산 시장은 아주 작은 시장으로써 소돌항 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 바다의 수심이 얕고 물이 깨끗하여 항상 해산물이 풍부하고 준비되어 있다.
소돌 수산 시장은 수심이 얕고 물이 깨끗하여 가족 단위로 해수욕을 즐길 수 있는 소돌 해수욕장과 아들바위, 서낭당, 소돌항 등의 아들 바위 공원이 명소로 알려져 있다.
시장 특산물로는 갓 잡아 올린 싱싱한 문어가 유명하고, 오징어, 꽁치, 성게, 홍합, 우럭 등 활어가 많이 잡히다 보니 저녁에 여행객이 많이 찾는 시장 중에 하나이다.
주소 :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해안로 1961-2
[정미소(방앗간)/창고 시간여행]
과거 정미소는 주로 벽면 자체가 벽돌이나 함석을 위주로 만들어졌기에 고창 교동 정미소는 벽 자체가 나무 거푸집을 이용한 황토벽으로 만들어진 정미소라 어쩌면 더 반가운지도 모른다.
내부는 과거의 모습 그대로 제분기와 더불어 도정시 사용하던 기계와 도구들이 남아 있지만 외벽은 오랜 세월을 견디지 못하여 조금씩 허물어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내부 시설은 철거 보다는 이전하여 보관하는 것도 정미소를 모르는 어린 세대들에게 과거 정미소 내부를 볼 수 있게 하는 좋은 교육 현장이 될 수도 있다.
주소 : 전북 고창군 성내면 용교리(다리골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