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나만의 명품 여행]
나고야 전경을 전망대에서 한 눈에 감상할 수 있는 나고야 사카에 역의 랜드마크 타워인 미라이 타워는 멀리서 보면 에펠탑의 모양처럼 보이는 철탑이다.
아래에서 보는 것 보다 한 번은 올라가 스카이 타워의 전망대에서 야경과 더불어 나고야 시내의 모든 전망을 보는 것도 일본의 시내를 보는 것도 환상적이다.
전망대의 모든 벽면은 유리로 되어 있어 360도 파노라마로 뷰를 즐길 수 있으며, 전망대 내부의 계단을 통해 한 층 더 올라가면 야외에서 경치를 즐길 수 있는 야외 테라스를 만날 수 있다.
주소 : 미라이 타워 3 Chome-6-15先 Nishiki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일본은 지진의 나라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지진 이후의 참상을 눈으로 목격하고 나면 자연 재해가 무섭게 다가 오는 것이 현실이 된다.
사루야마 미사키 렌즈는 현재 대지진 이후에 등롱에서 떨어져 약 2키로 정도 떨어진 휴게소에 전시 중이며 현재는 복구가 엄두가 나지 않아 등대까지 오르는 길목 역시 출입이 통제 되고 있다.
얼마 전 내린 폭우로 인하여 등대로 접근하는 길이 유실되어 해안가가 통제되어 있으며 어민들의 이야기로는 차가 들어가다가 추락할 정도니 접근이 어렵다고 말하고 있다.
주소 : 나고야 이시카와 현 와지마시
[해외 나만의 명품 여행]
일본 여행을 하면서 자유 여행을 할 때는 반드시 숙소는 예약이 필수이고 외국인은 여권을 지참해야만 숙소에 도착하여 체크인 할 때 필수이기에 꼭 기억해야 한다.
니코 호텔은 나고야 신칸센 역에서 걸어서도 가능하며 2키로 정도 떨어져 있는 호텔이며 주변 숙소에 비하여 가성비가 있는 호텔 중에 하나이다.
호텔 주변에는 일본 전통 음식에서부터 요즘 유행하고 있는 식당까지 다양하게 있으며 큰 쇼핑 센터 중 하나인 돈키호테 식당이 가까이 있어 여행객에게 편리한 숙소 중 하나이다.
주소 : 2 Chome-15-1 Honmachi, Kanazawa
[부산 울산 경남 그리움의 흔적]
청계 서원은 조선 연산군 때 학자인 문민공과 김일손을 기리기 위한 서원이며 김일손은 김종직의 제자로서 그의 스승을 비롯한 영남학파 학자들과 함께 조의제문 사건에 연루되어 무오사화로 희생되었다.
문장에 뛰어났으며 관리들의 부정 부패를 비판하여 눈총과 시기를 받아 낙향하여 청계정사를 세워 유생을 가르쳤고, 광무 10년에 유림들이 그 터에 유허비를 세웠다.
거연정은 거연정은 화림재 전시서가 은거했던 곳으로 서쪽에 그의 후손인 전재택 등이 고종 9년 세운 정자로,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중층 누각 건물이다.
주소 : 경남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 669-1번지
[전북 감성 도시 여행]
우리의 음식 문화 중 장류는 없어서는 안될 재료이기에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예로부터 장 맛이 음식 맛을 정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중요한 조미료 역할을 해온 것이 사실이다.
2007년도에 개관된 국내 최초 순창 장류 박물관은 전국 최초로 장류를 테마로 조성한 박물관으로 전통 장류의 본 고장인 순창을 홍보하는 대표적인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사라져 가는 향토 민속 자료 및 장류 관련 유물 906점을 전시하여 전통 장류의 맥을 이어 가고 있으며 다양한 기획 전시를 통하여 전통 문화 보존 및 계승에 핵심 축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주소 : 전북 순창군 순창읍 장류로 43
[대전·세종·충남북도 다녀오다]
김정희 선생 고택 및 김정희 묘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고증학자, 서예가, 역사 학자인 추사 김정희가 살던 집이자 묘소로 예산군 제3경으로도 선정되었다.
김정희는 북학파인 박제가의 제자로 공부하여 청나라 고증학의 영향을 받아 실사구시에 입각한 학문을 연구했으며 24세에는 청나라로 유학을 가서 금석학과 서체 등을 배웠으며, 1816년(순조 16)에는 서울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의 내용을 밝혀낸 인물이다.
추사 고택은 건물 전체가 동서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데, 안채는 서쪽에 있고 사랑채는 안채보다 낮은 동쪽에 있으며 추사 기념관이 건립되어 있어 충청남도 유형 문화재로 지정된 관련 유물이 전시 되고 있다.
주소 : 충남 예산군 신암면 추사고택로 261
[정읍에 마음을 뺏기다]
정읍 피향정은 1963년 보물로 지정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는 태인의 피향정은 정면 5칸, 측면 4칸의 단층 팔작 지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변 연꽃 밭이 일품인 곳이지만 올 해는 연꽃의 개화가 좋지 못하여 아쉬운 여름이 되고 있다.
정확한 건축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광해군 때 이지굉이 개축하였으며, 현종 때 박숭고가 확장 공사를 하였다고 전하며 최치원의 설화가 깃든 곳이다.
남향 건물이며 뒤쪽에 있는 돌계단으로 오르내리게 되어 있으며 누마루 아래는 석조의 동발 기둥을 받치고 있고 다른 누(樓)집 건축과 다를 바가 없다.
주소 :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산로 2951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기아 요새는 1622년에서 1638년 사이에 지어진 건물내에 있으며 1865년에 지어진 등대는 중국 해안에 세워진 최초의 현대적 등대로, 기아 요새는 예배당과 등대와 함께 상징적인 건축물이다.
요새 안에는 성 클레어 수녀원이 설립되기 전 이 지역에 거주했던 클라리스트 수녀에 의해 지어진 기아 예배당이 자리하고 있으며 마카오에서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요새는 주로 외적에 대한 방어 및 관측소로 사용되었다.
등대를 오르기전 숙소로 사용되던 작은 공간에는 역사적인 사진을 전시하고 이전 방공호의 실제 상황을 소개하고 있으며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최초 점등일 : 1874
주소 : Chapel of Our Lady of Guia, 5GWX+JRP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기아 요새는 1622년에서 1638년 사이에 지어진 건물내에 있으며 1865년에 지어진 등대는 중국 해안에 세워진 최초의 현대적 등대로, 기아요새는 예배당과 등대와 함께 상징적인 건축물이다.
요새 안에는 성 클레어 수녀원이 설립되기 전 이 지역에 거주했던 클라리스트 수녀에 의해 지어진 기아 예배당이 자리하고 있으며 마카오에서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요새는 주로 외적에 대한 방어 및 관측소로 사용되었다.
등대를 오르기전 숙소로 사용되던 작은 공간에는 역사적인 사진을 전시하고 이전 방공호의 실제 상황을 소개하고 있으며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최초 점등일 : 1874
주소 : Chapel of Our Lady of Guia, 5GWX+JRP
[해외 나만의 명품 여행]
느와르는 본래 헐리우드의 50년대 범죄 영화를 지칭하는 말에서 파생 되었는데 80년대 홍콩 영화는 조직 이야기와 희망을 꿈꾸는 이들의 마음을 담은 영화가 대부분이었다.
검은색이란 뜻의 라틴어 niger 에서 파생된 프랑스어로 어둡고 냉소적이며 불길한 분위기가 특징인 영화들을 가리키며 어두운 골목길의 모습을 보면 흡사 영화의 한 장면이 생각난다.
홍콩 느와르라는 말은 국내에서 만들어낸 신조어라고 하는데 어원이 된 필름느와르는 할리우드에서 대량 양산된 B급 무비를 지칭하며 오우삼 감독의 영웅본색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주소 : 1 Beco do Lilau, 마카오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해만 특정 해역 내에 위치한 삼여 등표를 개량하면서 과거의 모습은 사라졌지만 여수만을 굳건히 지켜내 온 역사 등표에 해당한다.
현 삼여 등표는 지난 1969년도에 설치되어 30여 년간 광양항 입구에서 항해 선박의 안전을 위한 항로 표지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왔으나 노후 되어 선박의 대형화 및 고속화에 따라 개량의 필요했다.
삼여 등표는 돛단배를 형상화하여 조형미를 갖추었고 높이 15m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설치했으며 광양항 관문에 위치하여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는 역사 등표이다.
최초 점등일 : 1969년
주소 : 전남 남해군 서면 서상리 남서쪽 약 2km
[한국의 역사 등대]
여수 해만 특정 해역 내에 위치한 삼여 등표를 개량하면서 과거의 모습은 사라졌지만 여수만을 굳건히 지켜내 온 역사 등표에 해당한다.
현 삼여 등표는 지난 1969년도에 설치되어 30여 년간 광양항 입구에서 항해 선박의 안전을 위한 항로 표지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왔으나 노후 되어 선박의 대형화 및 고속화에 따라 개량의 필요했다.
삼여 등표는 돛단배를 형상화하여 조형미를 갖추었으며 높이 15m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설치했으며 광양항 관문에 위치하여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는 역사 등표이다.
최초 점등일 : 1969년
주소 : 전남 남해군 서면 서상리 남서쪽 약 2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