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눈이 내리는 곳은 어디나 풍경이 아름답지만 주변에 눈이 내려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지는 곳은 이국적인 요소가 많은 곳임이 틀림없다.
매일 보고 지나치는 풍경도 설국에서는 또 다른 작품이 될 수 있기에 스토리를 안고 있는 곳 역시 겨울 풍경을 아름답게 만들어 내기도 한다.
눈이 내리는 날은 포근하게 내리는 눈이 소재로는 최고이지만 휘날리는 눈을 담는 것도 시린 손을 호호 불어 가며 담아 내는 묘미가 있고, 시간이 흐른 뒤 작업실에서 볼 때는 또 다른 추억이 만들어져 미소가 흐르기도 한다.
주소 전북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 일대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2025년 2월 정읍 지역에 70 여만에 내린 폭설로 온 마을이 설국의 모습이 되면서 많은 농가 피해를 가져왔지만 반면에 아름다운 설경도 연출되었다.
고려시대 지방 유림의 공의로 최치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생사당을 창건하여 태산사라 하였고, 고려 말에 쇠약해졌다가 1483년에 정극인이
세운 향학당이 있던 지금의 자리로 이전된 무성이 있다. 무성서원은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으며, 이 서원은 1868년경 대원군의 서원 철폐시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며, 2019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에 지정되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원촌길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정읍 드림랜드 조성 사업의 하나로 현 이학수 시장의 관광 관심도를 그대로 보여 주는 멋진 관광 작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내장산 문화 광장 순환 열차다.
오늘처럼 설국의 나라로 바뀌는 정읍에 오히려 설국을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여 기관사의 제복 등을 비치해 두어 설국의 정읍을 꿈꾸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강하게 드는 날이다.
증기 기관차 머리 부분은 유럽형 관광 열차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화통에 해당하는 부분은 밧데리 2기가 장착되었으며 객실은 3량 중 2량이 연결되어 있어 서있는 것만으로도 그림이 되는 설국의 하루이다.
주소 : 정읍 내장산 문화 광장 순환 열차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전북 정읍시는 여러명의 독립 투사가 있지만 특히 독립선언서를 발의한 박준승과 독립 투사 백정기가 있는데 두 분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각각의 기념관을 건립하여 알리고 있다.
백정기 의사는 일본 나가사키 형무소에서 남긴 조국의 자주 독립이 오거든 나의 유골을 해방된 조국 땅에 묻어주고 무궁화 한송이를 놓아 달라는 내용의 유언도 볼 수 있다.
백정기 의사는 일본 천황 암살 시도와 일본 군사 시설 파괴 등 항일 운동의 선봉에 섰던 인물로 1963년 건국 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영원면 영원로 1049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천곡사지라고 일컫는 정읍 망제동의 서쪽 산기슭에 위치한 탑으로 낮은 단층 기단 위에 7층 탑신을 올린 방형 평면의 석탑이다. 이 석탑은 8매의 석재로 구성된 지대석 위에 1매의 판석형 석재로 조성한 낮은 단층 기단을 놓아 올렸으며, 측면 상단에는 갑석형의 굽을 돌렸는데, 상면은 약간 경사지게 다듬은 후 중앙에 낮은 받침을 조출해 탑신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기단 구조는 운주사석탑군에서 볼 수 있어 고려 시대에 시작된 기단의 한 유형임을 알 수 있으며, 초층 탑신은 유난히 세장(細長)하고 방주(方柱)같은 4매석으로 구성되었는데 각 면에는 우주의 표현이 없다. 전체적으로 볼 때 초층 탑신이 유난히 높게 조성되었고, 2층 이상은 체감률이 적은 탓에 석탑 자체가 고준(高峻)해졌다.
주소 : 전북 정읍시 망제동 산9-2번지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은선리 삼층석탑(井邑 隱仙里 三層石塔)은 정읍에 있는 고려의 삼층석탑이며 보물 석탑 중 하나에 해당하며 보물 제167호로 지정된 문화재이다.
은선리는 백제시대 고사부리군(고부의 옛 명칭)의 고을 터에 자리하고 있으며, 백제 탑의 형식을 이어받아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석탑에 해당한다.
백제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한 것으로 목탑에서 석탑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어 석탑의 변모 과정을 잘 보여 주고 보물에 해당하며 2층 몸돌의 남쪽면에 문 두 짝을 단 방 모양이 있는데, 문짝을 하나만 새기는 다른 탑과 비교하면 특이하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일대에서 지표 조사 결과 백제 고분 275기가 확인되었는데 전북에 위치한 백제 고분으로는 규모가 가장 크다.
이 지역에 굴식 돌방 무덤이 밀집되어 있어 백제 지방 통치의 영역 확장 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이곳에 분포하고 있는 고분은 백제의 사비 시기 고분이 대다수이지만 일부 웅진 시기 고분도 확인되고 있어, 웅진 시기에서 사비 시기로 이어지는 백제 굴식 돌방 무덤의 변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백제의 지방 세력가들의 무덤군으로 추정되며 같은 지역에 있는 고사부리성 인근에 자리한 마한계 분구묘, 중방과의 관계 등을 살펴볼 때 백제의 중앙과 지방, 정치 세력의 변천 등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 산 7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고분군은 살아서는 영화로운 세상을 살다간 이들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며 죽어서는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는 현장이라고 할 수 있다.
지사리 고분군은 하지사리 남쪽 고부와 부안을 잇는 도로변에 위치한 무덤들에 속하지만 거의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유물들은 도굴이 되었다.
원래 4기의 무덤이 있었으나, 도로를 만들면서 가장 동쪽에 있는 봉분이 파괴되었으니 현대 문명이 역사를 지운 안타까운 현장이 되었으며 형태는 구덩식(수혈식)으로 되어 있는 고분 군락이다.
지사리 고분은 백제 전기인 4세기 말 ~ 5세기 전반의 것으로 구덩식(수혈식)무덤으로는 가장 큰 규모이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 402-5번지
[대구 경북 두루워킹투어]
영천의 자천 교회는 1903년 4월 권혁중이 설립한 교회로 현 교회당 건물은 그 해 10월에 건립되었다고 하는데 당시의 관련 자료나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이 건물은 우진각 지붕의 단층 목조 한옥 교회당으로 평면은 장방형으로 정면 2칸이고, 측면 4칸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 천장은 지붕틀이 그대로 노출된 연등천장이며, 지붕틀은 절충식의 트러스구조이다.
이 건물의 내부 공간 구성적 특징은 부재의 치목과 결구 수법 외에도 내부 열주에 의해 공간이 양분되어 있고, 열주 사이에 남·녀석을 구분하기 위해 칸막이를 설치하였던 흔적이 남아 있다.
주소 : 경북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773번지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밀양 영남루는 국보로 지정 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객사와 함께 모든 부속 시설이 소실되고, 이후 중창 및 중수를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영남루는 1844년 이인재가 밀양부사로 재임할 당시 대루의 규모를 확장하면서 동서에 각각 능파각과 침류각을 배치하고, 대루와 침류각을 연결하는 여수각을 설치하여 현재의 모습이 완성되었다.
영남루의 대루는 정면 5칸, 측면 4칸 장방형 평면의 대형 목조누각으로 7량가 구조이며 팔작 지붕에 부연을 사용한 겹처마에 처마 끝에는 막새를 달았으며 내부는 통칸으로 구성 후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았다.
주소 : 경남 밀양시 중앙로 324 영남루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밀양 영남루는 국보로 지정 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객사와 함께 모든 부속 시설이 소실되고, 이후 중창 및 중수를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영남루는 1844년 이인재가 밀양부사로 재임할 당시 대루의 규모를 확장하면서 동서에 각각 능파각과 침류각을 배치하고, 대루와 침류각을 연결하는 여수각을 설치하여 현재의 모습이 완성되었다.
영남루의 대루는 정면 5칸, 측면 4칸 장방형 평면의 대형 목조누각으로 7량가 구조이며 팔작 지붕에 부연을 사용한 겹처마에 처마 끝에는 막새를 달았으며 내부는 통칸으로 구성 후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았다.
주소 : 경남 밀양시 중앙로 324 영남루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고려시대 지방 유림의 공의로 최치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생사당을 창건하여 태산사라 하였고, 고려 말에 쇠약해졌다가 1483년에 정극인이
세운 향학당이 있던 지금의 자리로 이전되었다.
1696년에 최치원과 신잠의 두 사당을 병합한 뒤
무성이라고 사액되어 서원으로 개편되었으며,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으며, 이 서원은 1868년경 대원군의 서원 철폐시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되었다.
무성 서원을 둘러본 후 바로 앞에 있는 정읍 쌍화차로 유명한 섬그리고뜰에 들려보는 것이 좋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