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임피역사는 군산 선로의 역사로 1936년경에 건립된 것으로 판단되며, 1920년 12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오래전에 임피역이 폐쇄된 이후로 여객 운송은 하지 않고 있으나 꾸준하게 군산서 지나오는 화물 운송은 하루에도 여러 차례 지나가고 있는 철로이다.
버스나 다른 대중 교통 발달과 자동차 산업의 발달, 그리고 인구 감소, 그리고 주변 마트의 신설로 인하여 5일장의 쇠퇴로 갈수록 작은 간이역은 사라져 가지만 추억은 철로에서 자라나고 있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서원석곡로 37-0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임피역사는 군산 선로의 역사로 1936년경에 건립된 것으로 판단되며, 1920년 12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구조는 목조로 벽체는 시멘트 모르타르 마감되어 있으며, 지붕은 맞배집 형태에 박공을 설치하였는데 출입구와 개찰구 위에 직선으로 설치하였고, 철로변 사무실에 모임지붕이 돌출되어 있다.
대합실과 사무실 사이에 벽난로인 난방시설이 있으며, 굴뚝이 지붕위에 설치되어 있다. 역사는 폐역되었다가 활용할 목적으로 현재 리모델링 되어 공원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등록문화재 제208호로 지정되었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서원석곡로 37-0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임피역사는 군산 선로의 역사로 1936년경에 건립된 것으로 판단되며, 1920년 12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구조는 목조로 벽체는 시멘트 모르타르 마감되어 있으며, 지붕은 맞배집 형태에 박공을 설치하였는데 출입구와 개찰구 위에 직선으로 설치하였고, 철로변 사무실에 모임지붕이 돌출되어 있다.
대합실과 사무실 사이에 벽난로인 난방시설이 있으며, 굴뚝이 지붕위에 설치되어 있다. 역사는 폐역되었다가 활용할 목적으로 현재 리모델링 되어 공원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등록문화재 제208호로 지정되었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서원석곡로 37-0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이 증기기관차는 한국전쟁 당시 연합군 군수물자 수송을 위해 개성역에서 황해도 한포역까지 올라갔다 전세가 악화되어 남쪽으로 내려오던 중 멈춰선 증기 기관차이다.
1950.12.31 밤늦게 경의선 장단역에서 피폭되어 탈선하여 그 자리에 멈춰섰으며, 지금도 기차에 파편과 탄흔이 남아 있어 전쟁 흔적을 볼 수 있는 증기기관차이다.
검붉게 녹슬고 부식된 채로 반세기 넘게 비무장지대 안에 방치되어 있었으며, 문화재청은 이를 남북분단의 뼈아픈 역사적 상징물로 보호·관리하기 위해 등록문화재 제78호로 등록되었다.
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1400-5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파시라는 이름은 태평양을 뜻하는 영어 단어에서 따온 이름이며, 이 기차는 일본에서 제작하고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성 공장에서 조립한 텐더식 증기기관차이다.
전국 철도의 주요 간선에서 운행되었으나, 1967년 디젤기관차가 등장하면서 운행이 중단되었다. 우리나라 지형 조건에 잘 맞으며 국내산 석탄을 연료로 쓰기 적합하게 만들어진 대표적인 특급 여객열차이다.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파시형 증기기관차이며 등록문화재 제417호로 지정되었다.
주소 : 경기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42 철도박물관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1944년 제작된 미카 기차는 일본에서 제작되고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성 공장에서 조립한 탄수차가 뒤에 달린 텐더식 증기기관차로 부산에서 신의주를 비롯한 전국 철도의 주요 간선에서 운행되었다.
1978년 어린이날에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기차를 볼 수 없는 섬 지역 어린이들을 위해 제주 삼무공원에 보내져 전시되고 있다.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석탄용 증기기관차로 석탄과 물을 싣는 탄수차와 함께 원형 그대로 잘 남아 있으며 등록문화재 제414호로 지정되었다.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 270-5 삼무공원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폐역된 역은 안전 문제 관계로 대부분 선로와 전신주를 먼저 철거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역 건물을 철거하고 공터로 만든다.
이 경우 역터에는 플랫폼이나 나무 정도가 남을 뿐이고, 대부분 향나무나 측백나무 종류를 동호인들은 역목이라고 부르며 역의 터를 짐작케 하는 수단이 된다.
곡성역이 등록문화재가 되면서 창고 역시 철도 부지와 더불어 함께 등재되어 보존되고 있고 폐선된 지 거의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등록문화재이기에 활용되면서 우뚝 자리를 지키고 있는 듯 하다.
주소 : 전남 곡성군 오곡면 기차마을로 232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구 곡성역은 2동, 1층 규모로 역사로써 창고와 더불어 국가 등록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하고 있는 역사 중 하나이다.
구 곡성역은 전라선로의 역사로 1933년에 건립되었으며 등록된 간이역중 규모가 큰편에 속하며., 1933년 10월 15일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하였다.
1999년 전라선 복선화로 곡성역이 신축이전하면서 폐역되었다. 지붕형태는 박공이 양쪽에 설치되었으며, 전면 방향은 입구에, 옆면은 사무실쪽에 배치되어 있다.
주소 : 전남 곡성군 오곡면 기차마을로 232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가은선은 1953년 1월 18일 점촌~가은 간을 착공하여 1955년 9월 l5일 개통되었으며, 처음에는 문경선이라 명명한 철도의 한 구간이었다.
1969년에 다시 점촌~문경 간 철도가 개통됨으로써 가은선이라 개칭하였으며, 특히 이 철도는 가은 일대의 무연탄 개발을 위하여 산업철도로 건설되었다.
2004년 4월 가은선 구간이 철도청에 의해 공식적으로 폐선 조치되었고, 이 지역을 찾는 관광객을 위해 레일바이크가 운행되고 있고 국가 등록문화재이다.
주소 : 문경시 가은읍 대야로 2441 가은역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1923년 건립된 이 시설물은 경부선을 운행하던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삼량진역 내에
건립된 급수탑이다.
하부는 석조로 되어 있고, 상부는 철근 콘크리트이지만 석조의 무늬를 나타내기 위해 줄눈을 표시하였고 위쪽에 철제 물통실을 설치하였다.
당시 교통 요충지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삼량진역의 철도 시설물로서 가치가 있다.
국가등록 문화재 제51호이다.
주소 :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천태로 56-2 (송지리)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불정역은 문경선 역사로 1954년 11월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역사는 1955년 9월 준공되었다.
불정역의 외관 하부는 화강석 마감에 상부는 인근의 구랑리천의 강자갈을 재료로 마감하여 다른 간이역과는 다른 독특한 외관을 지니고 있다.
박공지붕 측면에 출입구를 배치하였고 평면은
대합실과 역무실로 구성, 역무실이 승차장쪽으로
돌출되어 승객을 관리하기 편하게 배치하였다.
국가 등록 문화재 제 326호이다.
주소 : 경북 문경시 불정동 418번지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반야월역은 대구선로 역사로 1932년 건립되었다가 2008년 폐역되고 도시계획에 따라 아파트가 건립되면서 2010년 대구시 동구 신서동 823-25번지로 이전되었다.
구조는 목조트러스조로 지붕 T자 형태로 삼각형
박공지붕면이 건물의 중심이 아닌 한쪽에 치우쳐
상징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전 복원된 폐역은 작은 도서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역사는 국가 등록문화재 제270호이다.
주소 : 대구 동구 신기동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