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도서]
신안 압해읍 수리섬은 아직까지 미지정 관리 대상으로 남아 있으며 무안도서 관리대장에 번호 부여를 받지 못하고 있는 간조에 육에 연결되는 작은 섬이다.
간조에 드러나는 독살 형태의 돌 길을 따라 섬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전체를 돌아보고 나오는 데 1시간이면 충분할 섬이지만 재래식 노둣길을 만날 수 있는 흔치 않은 섬에 속하기에 걸어보길 권한다.
지도상으로 수리섬으로 명명되어 있으나 기록면에서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며 해안가로는 해식애와 먼바다 방향으로 침식이 진행되고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압해읍 복룡리
[무인도서]
신안 퍼플교는 반월도와 박지교를 목교로 연결하여 육지가 된 보라색 섬이 되어 연결된 섬 속의 섬인 노루섬 역시 간조에 맞추어 걸어갈 수 있는 섬이 되었다.
고도가 낮아 간조에 쉽게 돌아볼 수 있는 섬이며 주변 해안가는 해식애와 시스택, 절리가 발달되어 있으며 먼바다를 향한 쪽에는 앙상하게 드러난 소나무의 뿌리가 세월감을 더해준다.
어찌보면 주변 청도와 후도가 인접하여 여러 종의 백로들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고 있는 섬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보존 관리지역이나 사유지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반월리 산 200
[무인도서]
여수시에 속하는 머그섬은 여자만 입구 적금도 둔병도 사이 해역에 위치한 작은 바위섬이며 타원 형태로 이루어진 매우 작은 섬이지만 등대가 서 있다.
등대섬인 머그섬은 인터넷 검색으로도 찾아 보기 힘들 정도로 무명의 무인도서이지만 등대가 서 있는 위치로 보면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섬이라 할 수 있다.
주로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백악기 안산암징 응회암인지라 멀리서 보면 포도주 빛깔이 보이며 풍화 침식 작용을 받아 갯바위는 염풍화혈이 분포되어 있으며 이름 역시 영어 이름 같아 이국적인 맛이난다.
주소 : 전남 여수시 화정면 적금리 산4
[무인도서]
여수 역만도는 최고봉은 218m인 바위섬이지만 주변 풍경이 아름답고 낚시가 잘되어 꾸준히 사람들이 드나는 섬에 해당하지만 작년에 거문도 주변 갯바위 낚시를 금지하여 민원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봉우리를 중심으로 해안 쪽으로 경사가 급한 편이며, 특히 동쪽 칼바위 아래로는 직벽에 가까우며 섬 주변에는 흰여·고래여·형제여·보찰여 등이 발달해 있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중성 및 염기성 심성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해안에는 많은 해식애와 해식동이 나타난다. 기후는 대체로 온화하고 비가 많이 내린다. 우거진 밀림과 가파른 벼랑으로 섬 둘레로 왕래가 불가능하며, 해식애와 해식동이 발달하였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 산 1761-1
[무인도서]
신안 일금도는 천사대교를 건너 처음 만나는 암태도를 지나 다리를 건너만나는 팔금도에서 다시 천사대교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들어가다 보면 맨 끝에서 만나는 거문도 내 노두길을 건너 간조에만 들어갈 수 있는 깊은 섬 속에 위치하고 있다.
거문도 역시 알려지지 않은 섬이지만 이곳에서 간조에만 건너는 이목섬 끝자락에 머리섬에 해당하는 곳의 옆에 위치하고 있는 섬이다.
이렇게 깊이 있다 보니 찾기도 힘들지만 물때가 맞지 않으면 애초에 들어오지 못하기에 깊은 오지 섬이라고 할 수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팔금면 이목리 산 39
[무인도서]
서천 당섬은 해수욕장에 속해 있어 간조가 조금만 시작되어도 모래사장을 통하여 편하게 입도가 가능하기에 육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무인도서이다.
매년 보름 즈음에 마을에서는 당산제를 지내고 있기에 섬이름이 당섬이라 부르고 있으며 바다쪽을 향한 곳에 벽화마냥 음각으로 출산하는 모양이 있어 다산을 기원하는 느낌도 든다.
주변 섬에는 모두 5개의 섬이 있는데 이 모든 섬들이 간조에는 모두 돌아 볼 수 있어서 날씨가 좋은 날은 하루 코스로 바닷길을 걸어 보는 이색적인 곳이다.
주소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선도리
[무인도서]
소등섬은 전체가 하나의 큰바위로 이루어져 있어 예전부터 득량만을 넘나드는 거친 파도로부터 마을을 지켜주는 천연 방파제 역할을 해왔다고 한다.
현재는 섬 우측으로 길게 이어진 방파제와 더불어 가 포구 역할까지 하고 있지만 만조에는 들어가지 못하는 아쉬움도 있는 섬이다.
이름을 보면 호롱에서 발하는 작은 불빛을 의미하며, 마을 주민들은 먼 바다에 고기잡이를 나간 가족들을 위해 호롱불을 켜놓고 무사귀환을 빌었다고 해서 소동도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주소 : 전남 장흥군 용산면 소등섬
[무인도서]
신안 우이도는 해안선 길이 21km에 이르고 목포,제주간 항로에서 만나게 되는 최고점 361m의 섬이며 목포에서 서남쪽으로 63km 지점에 있다.
이곳 항로는 도초도에서 흑산 방향으로 가다 보면 여러 무인도서를 만나게 되는 데 제주 항로에서 오전 배를 이용하면 만날 수 있지만, 밤은 칠흑의 바다가 되기에 칠발도, 비도, 우이도 등대의 불빛을 보며 항해하는 선박을 볼 수 있을 뿐이다.
섬 서쪽에 두 개의 반도가 돌출한 것이 마치 소의 귀 모양과 비슷하다 하여 우이도라는 이름이 붙여져서 그런지 소와 관계된 이름의 도서가 많은 곳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리 해상
[무인도서]
신안 안좌 견도는 간조에만 들어갈 수 있는 무인도서이며 해안지형이 타포니 형태가 아름답게 이루어져 있으며 갓섬, 중도섬 옆으로 이루어져 있다.
20년전에는 문화재청에서 고대 선박을 인양하여 발굴하였던 터이기도 하며 확인된 선체는 평저형의 전통 한선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지금까지 발굴된 몇 척의 한선들 보다 그 규모가 훨씬 크며, 잔존부분도 많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또한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인위적인 노두가 만들어져 있어 용이하게 중도, 갓섬 두 개의 섬을 역시 돌아 볼 수 있기에 다른 섬에 비하여 접근이 쉽다. 견도는 중도 옆섬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탄동리 산11
[무인도서]
신안 안좌 중도섬은 간조에만 들어갈 수 있는 무인도서이며 해안지형이 타포니 형태가 아름답게 이루어져 있으며 갓섬, 중도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20년전에는 문화재청에서 고대 선박을 인양하여 발굴하였던 터이기도 하며 확인된 선체는 평저형의 전통 한선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지금까지 발굴된 몇 척의 한선들 보다 그 규모가 훨씬 크며, 잔존부분도 많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또한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인위적인 노두가 만들어져 있어 용이하게 갓섬 두 개의 섬을 돌아 볼 수 있기에 다른 섬에 비하여 접근이 쉽다. 중도는 갓섬 앞섬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탄동리 산2
[무인도서]
신안 안좌 갓섬은 간조에만 들어갈 수 있는 무인도서이며 해안지형이 타포니 형태가 아름답게 이루어져 있으며 두 개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20년전에는 문화재청에서 고대 선박을 인양하여 발굴하였던 터이기도 하며 확인된 선체는 평저형의 전통 한선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지금까지 발굴된 몇 척의 한선들 보다 그 규모가 훨씬 크며, 잔존부분도 많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또한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인위적인 노두가 만들어져 있어 용이하게 갓섬 두 개의 섬을 돌아 볼 수 있기에 다른 섬에 비하여 접근이 쉽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탄동리
[무인도서]
보령 할미섬 사진을 취미로 하는 여행가들은 노을을 담기 위해 한번쯤은 가 보았을만큼 오메가 일몰 장소로 손색이 없는 작은 여에 해당하는 섬이다.
삼대가 덕을 쌓아야 할 정도로 오메가 일몰을 보기는 참으로 어렵지만 맑은 날 서천 여행시에는 반드시 한번쯤은 들려서 오메가 일몰을 보는 행운을 만나보자.
간조에 들어가는 길이 모래톱과는 거리가 있어 장화는 필수로 신어야 하며 중간에 갯벌에 발이 빠는 갯골이 숨어 있어 주의를 해야 만날 수 있는 섬이다.
이곳은 간조에 4개의 섬과 2개의 여를 육지에서 바로 걸어들어갈 수 있는 곳인지라 볼거리가 많은 곳이다.
주소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장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