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도서를 만나다]
구리도와 할미도는 자은도에 속한 부속섬에 형태이며 무한의 다리가 완공되에 2개의 섬을 모두 다리로 통해서 들어가 걸을 수 있는 작은 섬이다.
이 섬은 중생대 백악기의 유문암 및 유문암질 응회암으로 이루어진 소규모 순상 형태의 섬으로 고도 약 15m의 작은 높이의 섬이다.
상부에는 총알고둥, 중하부역에는 참굴 및 조무래기따개비가 즐비하며 조간대는 암반,모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사는 완만하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자은면 한운리 산227
[무인도서를 만나다]
구리도와 할미도는 자은도에 속한 부속섬에 형태이며 무한의 다리가 완공되어 2개의 섬을 모두 다리로 통해서 들어가 걸을 수 있는 작은 섬이다.
이 섬은 중생대 백악기의 유문암 및 유문암질 응회암으로 이루어진 소규모 순상 형태의 섬으로 고도 약 15m의 작은 높이의 섬이다.
상부에는 총알고둥, 중하부역에는 참굴 및 조무래기따개비가 즐비하며 조간대는 암반,모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사는 완만하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자은면 한운리 산227
[무인도서를 만나다]
울주군의 서생면 진하리에 위치한 섬이며, 진하 해수욕장 팔각정 전면에 위치한 무인도서이지만 간조가 많이 일어나는 봄과 가을에 입도할 수 있다.
명선도는 본래 매미가 많이 울어 유래한 지명이며 일설에는 불모의 섬을 뜻하는 맨섬이 매미로 변하여 훈차한 이름이라고도 한다.
매년 음력 3월~4월 사이에 진하해수욕장에서 명선도까지 바닷물이 빠지고 모래 바닥이 드러나면 바닷길이 열리고 있지만 얼마전 임시부교가 설치되어 수시로 입도할 수 있다.
주소 : 울산 울주군 서생면 진하리
[무인도서를 만나다]
하롱베이를 다녀온 분들은 한 눈에 어딘가 닮았다는 느낌을 갖게 되는 곳이 보리섬인데 섬은 그렇게 눈에 띄는 섬은 아니지만 한적한 휴양지는 틀림없다.
썰물에 드러나는 갯가길을 따라 한바퀴 돌아도 30분정도밖에 걸리지 않는 작은 섬이지만 갯벌 체험을 겸할 수 있어 어촌을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지금은 보리교가 개설되어 다리를 이용해서 걸어들어가 섬을 돌아보는 데도 20분 정도 밖에 걸리지 않아 여행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주소 : 경남 고성군 삼산면 미룡리 산295
[무인도서를 만나다]
세존도는 남해군의 최남단 먼바다에 있는 무인도서이기에 쉽게 가보기가 힘든 무인도서 중에 하나이며,섬에는 두 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 문암이라 부른다.
세존도에서 대마도 방향으로 가다 보면 만나게 되는 남해 끝자락 홍도를 눈앞에 두고 있으며, 이름부터가 불교적인 성향이 짙은 것은 섬의 모양때문이다.
옛날 세존이라는 도인이 금산 쌍흥문에서 돌배를 타고 이 섬의 중간을 뚫고 지나갔다는 전설이 있어 이 섬을 세존도라 하였다.
주소 : 경남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무인도서를 만나다]
속초시의 동쪽 청호동 속초해수욕장 앞에 위치한 무인도인 조도는 새가 많이 앉아 있어 조도라 부른다고 전해진다.
고지도에는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데, 양양읍지 도서조에 무로도(無路島)는 북쪽 30리 속초진에 있는데 대나무가 산출된다는 기록이 있다.
풀과 소나무가 무성해 초도라 불리기도 했고 지금은 정자가 헐리고 그 자리에 1984년에 세워진 무인등대가 있고 속초 해수욕장에서 바라보이는 섬이다.
주소 : 강원도 속초시 해오름로 190
[무인도서를 만나다]
안면도에서 승용차로 갈 수 있는 마지막 섬이 원산인데 인데 이곳은 올 연말 세계5위에 해당하는 해저터널이 개통되는 구간이기도 한 섬이다.
터널이 개통되면 대천 보령간을 5분이내로 통과하게 되면 지금까지 1시간 가량 돌아서 입도하게 된 길을 단 시간에 입도하게 되어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딴섬은 썰물에 걸어들어갈 수 있는 작은섬인데 전체를 돌아도 20여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 둘레가 작고, 특히 비가 오면 멀리 보이는 원산대교가 아름답게 보인다.
주소 : 충남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
[무인도서를 만나다]
섬 중앙에 금당산이 솟아 있으며 최고점은 서쪽에 솟아 있는 160m의 고립된 봉우리이다. 주변에 흩어져 있던 작은 섬들 사이의 간석지를 간척하여 통합하였기 때문에 비교적 평지가 넓고 신안군 내의 섬 중에서는 보기 드물게 쌀의 산출량이 많다.
근해에서는 전어와 낙지 그리고 조개 등의 어로가 활발하며, 갯벌에서는 파래와 돌김 등을 채취하고 김을 양식한다.
염전이 많아서 다도해 염전지대의 중심지이기도 하고 문화유적으로는 모내기소리 등의 민요가 전해지고 인접한 안좌도와 연도교로 연결되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팔금면 팔금도
[무인도서를 만나다]
통영의 가익도는 보는 방향에 따라 숫자가 달라지며작은 3개의 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섬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작고 오로지 새들만이 사는 섬이다.
교통편도 힘들고 입도는 아예 되지도 않은 여이지만 2주의 섬으로 정한 이유는 바로 앞 매물도나 소매물도를 가면서 여객선에서 조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러니하게도 가익도의 전설은 슬프디 슬픈 이야기이지만 가익도만 보았을 땐 아름다움에 빠져 넋을 놓고 보게 되는 섬이다.
주소 : 경남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산73
[무인도서를 만나다]
통영의 가익도는 보는 방향에 따라 숫자가 달라지는 작은 3개의 여로 이루어진 섬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작고 오로지 새들만이 사는 섬이다.
교통편도 힘들고 입도는 아예 되지도 않은 여이지만 2주의 섬으로 정한 이유는 바로 앞 매물도나 소매물도를 가면서 여객에서 조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러니하게도 가익도의 전설은 슬프디 슬픈 이야기이지만 가익도만 보았을 땐 아름다움에 빠져 넋을 놓고 보게 되는 섬이다.
주소 : 경남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산73
[무인도서를 만나다]
전남 진도군에 속한 유인도인 가사도를 중심으로 서쪽으로 보이는 작은 무인도서가 바로 가덕도인데 부산 가덕도와 이름이 같아서 검색으로 찾기가 어렵다.
현재는 사람이 살지 않는 섬이며 앞으로는 집우도를 두고 있으며 섬의 동쪽 방향으로 예쁜 절경이 있으며 노을이 들무렵 해안 절벽이 아름다운 색이 된다.
가사도 등대에서 바라보면 다도해의 전경이 한눈에 들어오면서 제일 먼저 보이는 소동도, 마도, 가덕도, 집우도 순으로 보이기에 나란히 서 있는 형상이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 가덕도
[무인도서를 만나다]
진도군 하조도에서 맹골방향으로 펼쳐진 섬이 보이는데 이곳이 바로 소마도와 거마도인데 등대는 거마도에 2007년에 설치되었다.
유인도가 35개, 무인도가 119개나 될 정도로 관할구역 내에 섬이 많고, 가사도에 가사출장소, 서거차도에 거차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진도항에서 출항하는 여객선은 이곳을 경유하여 각 부속도서로 운항하지만 대부분의 섬이 대부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무인도서는 쉽게 입도하기가 어렵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대마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