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도서를 만나다]
신안 임자도는 연륙교 개통으로 이제는 육지가 되어 많은 여행객이 차량으로 들어 오는 섬이 되어 튤립 축제와 대광 해수욕장은 명소가 되었다.
특히 여러 부속섬을 안고 있는 섬이지만 육지에서 간조에 조금만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섬 중 대두섬은 군사지역 관계로 섬 정상은 들어가지 못한다.
들어가는 다리는 오랜 세월을 견디지 못해 모두 파괴되어 흉물로 변한지 오래이지만 외곽은 간조에 10분이면 모두 돌아볼 수 있는 작은 섬이기에 임자도를 방문한다면 물때를 맞추어 건너가면 좋을 섬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임자면 이흑암리
[무인도서를 만나다]
전체 면적은 43,835㎡(13,260.08평)인 작은 무인도서에 해당하며 목포에서 흑산방향으로 가는 길목인 초입에서 만나게 되는 섬이다.
현재는 도시지역, 자연녹지지역, 준보전산지이지만 조만 육지에서 연결되는 연륙교가 예정되어 있어 한때 투기바람이 불기도 했던 섬이다..
목포시 앞바다의 섬들을 연결하는 프로젝트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웃의 섬들인 율도와 장좌도에 연결되는 도로가 계획되어 있다.
주소 :
[무인도서를 만나다]
무안 해제 다드락 섬은 간조시에 섬 입구까지 승용차가 진입이 가능한 시멘트 포장길이기에 활동하는데는 아무런 제약이 없는 섬이다.
섬을 한바퀴 도는데 30분이면 가능한 작은 섬이지만 바닷물이 빠져 나간 섬을 바라보며 멍때리기에 적합한 환경의 섬일 정도로 좋은 섬이다.
섬 둘레 역시 빼어난 절경은 없지만 해식애, 해식대지, 시스택, 절리, 중성 암맥 발달된 해안가이며 드넓은 갯벌에서 낚지 잡이하는 어촌의 일상을 보는 것은 다드락 섬만이 갖는 보너스 풍경이다.
주소 : 전남 무안군 해제면 대사리 산124
[무인도서를 만나다]
무안 해제 다드락 섬은 간조시에 섬 입구까지 승용차가 진입이 가능한 시멘트 포장길이기에 활동하는데는 아무런 제약이 없는 섬이다.
섬을 한바퀴 도는데 30분이면 가능한 작은 섬이지만 바닷물이 빠져 나간 섬을 바라보며 멍때리기에 적합한 환경의 섬일 정도로 좋은 섬이다.
섬 둘레 역시 빼어난 절경은 없지만 해식애, 해식대지, 시스택, 절리, 중성 암맥 발달된 해안가이며 드넓은 갯벌에서 낚지 잡이하는 어촌의 일상을 보는 것은 다드락 섬만이 갖는 보너스 풍경이다.
주소 : 전남 무안군 해제면 대사리 산124
[무인도서를 만나다]
우리나라 3면의 해역에는 영해 및 접속수역법 시행령법 제2조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영해폭을 측정함에 있어서 직선기선으로 하는 각 수역의 기점을 말한다.
각 끝섬 한군데에 첨성대 모양으로 된 영해직선기점 표시를 설치하여 우리나라 해역임을 표시하고 있는데 고유 모양이 첨성대라 더욱 눈길을 끈다.
목포를 출발한 쾌속선이 가거도를 이르러 항구로 들어가면서 좌측에 보이는 섬이 밖으로 나와 있다고 해서 정식 명칭으로 밖녹섬이 부르고 있다.
밖녹섬은 안쪽으로 더 큰 섬인 안녹섬과 마주 보고 있는 섬이며 바깥쪽으로 영해표지가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밖녹섬
[무인도서를 만나다]
닭 섬은 천리포항을 바라보고 있으며 해수욕장이 있어 여름에는 많은 피서객이 몰리는 피서지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간조에 걸어들어 갈 수 있는 섬이 매리트이다.
간조에는 독살길을 따라 섬을 들어갈 수 있지만 갯바위를 돌기에는 다소 위험하고 거친 지형이 많아 먼바다를 볼 수 있는 동산길을 권하고 싶다.
섬의 재질은 화강암으로 구성된 간석지형이 주를 이루고 해식애와 해식동이 있으며 등대는 육지에서도 관찰되지만 6번의 굽이길을 걸어야 만날 수 있다.
주소 : 충남 태안군 소원면 의항리
[무인도서를 만나다]
신안군 도초도 부속섬인 소태도의 구성 암석은 중생대 백악기의 유문암과 규장암으로 남-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띄고 있다.
서쪽 해안은 급경사의 해식애가 발달되었고 해식애에 노출된 불꽃 모양의 규장암 관입 구조가 가장 특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지금은 소태도 역시 절대보전 지역으로 입도 자체가 허가를 받아야 들어갈 수 있으며 입도하기 위해서는 어선을 이용해야 하기에 천혜의 섬으로 남아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내월리 산277
[무인도서를 만나다]
진도 매도는 멀리서 보면 섬 전체가 날렵한 부리를 가진 매와 비슷한 모양이라 하여 이름지어졌으며,
해식절벽과 동굴, 절리 등으로 이루어진 섬이다.
어느 방향에서는 매처럼 보이다가 다른 방향에서 보면 거북이의 형상으로 보이는 등 각도에 따라 다른 거북이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신기한 섬이다.
전설에 따르면 본래 천상에 살던 큰 매 한 마리가 옥황상제의 꾸중을 듣고 땅으로 내려와 돌로 변하여 매도가 되었다고 한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의신면 구자도리
[무인도서를 만나다]
신안 홍도 외도는 북쪽 바다에 크고 작은 바위섬들이 여럿이 모여 여틀바다라고 불리는 섬들 중에서 직사각 형태이며 중앙에 구멍이 뚫린 바위섬이다.
이 무인도서는 그리 높지 않은 고도이며 서대문구에 있는 독립문과 비슷하며 군산 방축도 독립문 바위보다는 그 크기와 높이가 높다.
독립문 바위 모양은 파랑이 집중된 곳이 침식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홍도의 부속 섬이며 유람선을 타고 관광할 시 마지막 코스에 해당하는 섬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
[무인도서를 만나다]
추자군도는 제주도에 속하며 한반도 남서부와 제주도의 중간 지점에 있고 상추자도·하추자도·횡간도·추포도 등 4개의 유인도와 38개의 무인도가 있다.
이 중 상추자도와 하추자도는 비교적 크나, 나머지 도서는 면적이 작은 섬이며 특히 멸치잡이로 유명하기에 멸치잡이 시기에는 밤바다에 장관을 이룬다.
제주에서 육지로 나가는 오후 시간에서 밤바다에서 보는 추자군도의 멋은 노을 속에서 환상적이고 몽환적인 모습을 연출해 낸다.
주소 : 제주 제주시 추자면
[무인도서를 만나다]
남해 돌섬은 모상개 해수욕장과 해변에서 비켜 보이며 바로 앞에 수우도를 바라보고 있는 섬이자 해변가가 아름다운 절경으로 유명한 곳이다.
남해 먼 바다에서 밀려오는 파도 소리가 아름답게 들리는 곡선형의 해안을 안고 있으며 바로 앞 작은 섬인 모섬 사이로 일출이 아름답다.
파도가 심한 날은 갯가를 걷기 힘들지만 해파랑길이 지나는 길목이기에 걷기 명소로도 알려진 해안이지만 산에서 직선길로 내려가야 하기에 안전에 유의해야할 섬이다.
주소 : 경남 남해군 창선면 진동리
[무인도서를 만나다]
신안 외교도(外橋島)는 작은 무인도서로써 증도 수로의 남서쪽 끝에 위치하고 있는 섬이며 외곽 중심부에는 배의 앞머리를 형상으로 제작된 무인등대가 있다.
먼발치로 외교도를 바라보면 배가 앞으로 나오는 듯한 등대의 모습이 보이며 외교도는 밖다리섬, 혹은 바깥다리섬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등대와 남쪽에 위치한 증도 사이의 만입부에 해당하는 해역은 양식장의 시설물들이 잔뜩 자리하고 있어 외부에서 오는 선박은 주의를 요하는 곳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지도읍 당촌리 산 2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