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신안 소마진도 북서쪽 끝단에 자리하고 있는 소마진도 등대는 안좌도와 팔금도 사이의 협수로 중간 즈음에 자리하고 있다.
해당 수로는 비금도-안좌도-팔금도-목포항을 연결하는 연안여객선의 항로로 수로 거의 중앙부에 섬이 자리하고 있어서 섬의 남쪽과 북쪽 모두 항행이 가능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북쪽 수로로만 통행이 가능하다.
이유는 남쪽 수로는 썰물 때가 되면 물이 거의 다 빠져나가 수로폭이 50m정도에 불과하여 일반적인 연안여객선의 항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최초 점등일 : 1995년 8월 5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마진리 산 86-1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서넙도 등대는 섬 서쪽 맨 끝단의 남측 돌출부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 등대로 이 등대가 위치한 서넙도는 원래 기도라는 이름의 섬이었다.
얼마전 목포해수청에서 안전 진단을 통하여 노후된 등대를 시설 보수한 관계로 방문하던날 등대 공사중이어서 사진은 공사중 사진이 실렸다.
기도라는 이름에서 넙도의 서쪽에 있다고 하여 서넙도라는 이름으로 바뀐 뒤 등대명 역시 서넙도 등대로 부르고 있으며 앞바다의 해역은 양식장 그물이 펼쳐져 있는 해역으로 항해가 가능한 수로는 상당히 좁은 수로에 해당한다.
최초 점등일 : 1987년 9월 7일
주소 : 전남 완도군 노화읍 방서리 산 133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상수치도는 비금면 소재지의 동쪽 해상에 위치하며 동쪽에 상사치도와 하사치도, 남쪽에 수치도가 있으며 팔구포의 중앙에 자리 잡고 있다.
상수치도는 목포와는 서쪽으로 40km 떨어져 있고 면소재지인 비금도와는 2.5km 떨어져 있지만 아직까지는 불편한 섬으로 남아 있다.
초창기에 무인도가 될뻔한 섬을 1인이 가꾸어 지금은 유인도가 되어 농사와 어업을 하는 주민들로 이루어진 섬이며 등대 역시 역등의 특징 중 하나인 사각 콘크리트 울타리가 둘러져 있다.
최초 점등일 : 1969년9월 3일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수치리
[무인도서]
신안 삼도는 보는 방향에 따라 숫자가 달라지는 무인도서에 해당하며 간조에는 끝부분이 이어진 모습으로 보이는 섬이다.
위치는 흑산도를 오가는 모든 항로인 시하도를 지나는 길목에서 만나게 되는 작은 섬 세 개를 합하여 삼도라고 칭하고 있는 섬이다.
삼도에는 육지로 나가는 아낙의 형상과 뱃사공의 조형물이 배와 함께 만들어져 있으며 가까이 가서 보면 애틋한 전설적인 사연이 있을법한 조형물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한운리 산 339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신안 삼도 등대는 흑산도를 오가는 모든 항로에서 시하도를 지나는 길목에서 만나게 되는 작은 섬 세 개를 합하여 삼도라고 칭하고 있는 섬이다.
현재는 무인등대로 만조시에는 세개의 섬이 되었다가 간조시에는 사주로 서로 연결되는 작은 여들 덕분에 삼도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삼도 등대에는 육지로 나가는 아낙의 형상과 뱃사공의 조형물이 배와 함께 만들어져 있으며 매우 좁은 수로에 해당하기에 등대의 역할이 크다.
최초 점등일 : 1986년 5월 3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한운리 산 339
[등대와 사람들 시간여행]
일반적으로 완주를 하기 위해서는 경비를 포함하여 가장 중요한 날씨 참가 인원 그리고 그들의 시간 모든 것이 맞아야만 가능한 일이기에 참으로 힘든 여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것은 다 내려 놓고 오로지 등대가 좋고 바다가 좋아 헤매기를 1년 동안 하면서 어쩌면 옆지기 보다 더 가까운 가족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이제 우리나라 백색 등대 중 육지에 소속되어 있는 군부대 내 등대를 제외하곤 모두 완주했으며, 배를 이용해서 들어가야할 섬 몇군데를 빼곤 완주를 앞두고 있다.
또한 우리 영해 표지 24군데(중복신설 3)를 소령도 완주를 앞두고 23년도 새로운 목표인 물갈라짐 섬을 시작하여 걷기 시작했다. 이런 위대한 그들에게 우리는 등대 여행의 선구자라고 부르고 싶다.
[대전·세종·충남북도 두루워킹투어]
충주 사인암은 높이는 약 50m이며 기암 아래는 남조천이 흐르며 작은 소를 이루고 있어 아름다운 풍치를 더해주는 곳이자 풍속화의 기본 소재가 된 곳이다.
사인암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고려 때 유학자인 역동 우탁 선생의 행적 때문에 지어졌으며, 고려 때 우탁이 임금을 보필하는 직책인 정 4품 사인이라는 벼슬에 있을 당시 이곳에 머물렀다는 사연이 있어 조선 성종 때 단양 군수가 우탁 선생을 기리기 위해 이 바위를 사인암이라 지었다고 전해진다.
단양팔경에 속하며 2008년에 명승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국립공원이다.
주소 : 충북 단양군 대강면 사인암2길 42 청연암
[해변/해수욕장]
신안 추포 해수욕장은 천사대교 개통으로 더욱 가까워진 상태에서 작년에 추포대교 개통으로 썰물에 드러났던 노둣길과 관계없이 입도할 수 있게 되었다.
본섬인 암태도에서 과거에는 간조에 노둣길을 걸어서 들어갈 수 있었지만 지금은 육로가 된 상태이며 5년후는 도초도까지 다리가 완공되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교통 전략지가 될 전망이다.
추포도는 추엽도와 포도의 두 섬으로 나뉘어져 있었으나, 간척 공사로 인해 하나의 섬이 되었으며 조금시에는 바닷물이 맑아져 아름답게 해수욕을 즐길 수 있는 해수욕장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암태면 추엽길 58-59
[기적의 바다 갈라짐]
신안 거문도는 여수 먼바다에 있는 거문도와 이름이 같아서 검색 순위에서 밀리는 거문도지만 팔금도를 검색하다 보면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섬이 거문도다.
천사대교 개통으로 팔금도 끝자락까지 승용차로 이동할 수 있고 거문도 방파제까지 접근이 용이하며 거문도와 매도는 간조에 드러나는 노두길이 있어 물 때가 맞으면 한적하게 걷기에 좋다.
다른 노두길과 달리 태안 닭섬처럼 거문도의 노두길은 사리 썰물시만 아니면 노두길이 드러나도 양 방향으로 바다물이 출렁거림을 볼 수 있어 청량함을 느끼며 걸을 수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팔금면 거문도
[항구/선착장]
군산과 목포의 옛 선창가에는 다소 눈에 거스릴 수 있는 째보 선창이라는 이름이 남아 있는데 지금은 매립으로 흔적은 모두 사라졌다.
째보 선창은 지금은 항구의 개발로 쇠락하고 너저분한 어시장의 모든 모습을 보여주는 곳으로 바뀌었지만 포구의 모습이 안쪽으로 째진 모습이 마치 째보(언청이)처럼 생겨서 그렇게 불렸다고도 하는데 명확히는 알 수가 없다.
지금은 폐쇄된지 오래여서 낡아 보이지만 등대 모양처럼 생긴 건축물은 어선에 얼음을 보급해 주던 주탑 역할을 했던 기둥이다.
주소 : 전남 목포시 해안로 182 목포항
[간이역 시간여행]
지금의 나이가 40대 이상이라면 연무대역은 국방의무를 다하기 위해 한번쯤은 거쳐가야 했던 어쩌면 기억하기 싫은 간이역일지도 모르겠다.
연무대역은 강경선의 역으로써 구 연무대역이라 불리는 본관 역사에서 육군훈련소 인근 지역으로 약 1.5km 정도 거리의 군 전용선이 있고 그 끝부분에는 연무대역이라 불리는 군용 승강장이 있다.
군용 승강장은 군사보호구역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일반인들은 접근이 불가능한 곳이며 본관 역사 인근에는 성신양회 공장이 있어서 시멘트 수송을 담당하기도 했다.
주소 : 충남 논산시 연무읍 왕릉로70번길 55-1
[대전·세종·충남북도 두루워킹투어]
후삼국 시대는 견훤이 후백제를 세우면서 시작되었고, 삼국이 통일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걷게 되었으며 역사의 기록은 승자의 것이기에 다소 왜곡된 후백제의 기록으로 남았다.
견훤이 건국한 나라를 스스로 무너뜨렸으니 우리나라 역사를 통틀어서도 파란만장한 인생을 살다 간 군웅은 찾기 힘들다.
견훤은 황간 견씨의 시조이기도 하며 견훤의 성씨는 완산 견(진)씨이기에 이씨가 아니다. 아버지는 이씨였지만 견훤은 이씨가 아닌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900년부터 935년 음력 3월까지 후백제(後百濟)의 군주로 재위하였다.
주소 : 충남 논산시 연무읍 금곡리 산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