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제주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섬에 해당하기에 곳곳에 항구가 있어 많은 등대가 설치 되어 있는 곳이기에 모두 돌아보는데는 상당량의 시간이 소요된다.
여를 뺀 17개의 부속섬을 모두 완주하고 방파제가 있는 선창가를 돌아 보다가 문득 새섬에 들어가 방파제 등대를 한참을 바라 보았다.
낚시꾼들이 방파제 위에서 분주히 움직이는 모습을 보며 등대를 중심으로 좌우에 앉아 있는 낚시꾼을 조금 기울게 담아 보았다.
최초 점등일 : 2007년 6월 12일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칠십리로 72번길 14
[365일]
혼자 낯선 곳을 걸을 때면 풍경이 그리운 것이 아니고 사람이 그리워지는 법인데, 나를 바라보고 내 말을 들어줄 사람 말이다.
우뚝 솟은 방파제 등대를 보며 좌우에서 낚시하는 이들의 모습을 담으며 좌우 대칭에 고민을 하면서 기울기를 일직선이 아닌 기우는 쪽으로 선택했다.
사랑도 더 많이 사랑하는 쪽이 갑이 아닌 을이 되기에 외항쪽과 내항쪽을 사랑으로 보고 조금은 기울기를 가져보면 어떨까라고 말이다.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제주 서귀포에는 아름다운 부부 사연이 담긴 부부 등대로 유명한 하예진황 등대와 사계항 춘지 등대가 아름다운 바다를 배경으로 서 있다.
하예진황 등대는 민간인이 세운 등대이지만 주민들이 남편을 바라보는 의미 있는 등대를 사계항에 세움으로써 그 어떤 등대보다도 애틋한 사연이 담겼다.
하예진항 등대는 앞바다를 비추는 등대지만 멀리 보이는 사계항 춘지등대를 보고 있는 것만 같고 부부의 사랑이 파도를 타고 서로를 보는 듯 하다.
최초 점등일 : 1995년 5월 20일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형제해안로 13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제주 하예진황 등대는 지역 어민은 물론 인근을 항해하는 각종 선박들의 해상교통안전 도모를 목적으로 이 마을 출신인 재일교포 강진황씨가 자비를 들여 설치한 민간인이 세운 등대이다.
해수부에서 세운 등대가 아닌 민간인이 세운 등대이지만 그 위치의 경관이 빼어나고 기암이 독특하여 관광 자원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다.
몇해전 하예진황 등대 주변 정리를 해수부에서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93년 8월 1일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하예동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낮에 보는 등대와 밤에 보는 등대는 보는 시각과 마음에 따라서 분위기가 한층 다르게 다가오는데 아마도 등대는 밤에 빛을 발하기 때문일 것이다.
등탑에 불이 들어 오는 시간에 등대를 보면 웬지 모르게 흐뭇한 생각마저 들고 거기에 주변 조명이 어우러진다면 더욱 아름답게 보인다.
이런 체험을 24시간 할 수 있는 목포항 건너편 어린이 바다 체험관의 입구에 설치된 등대는 조명이 어우러져 한층 밤을 아름답게 한다.
주소 : 전남 목포시 삼학로92번길 98
[우리나라 바다 조형물]
낮에 보는 등대와 밤에 보는 등대는 보는 시각과 마음에 따라서 그 분위기가 한층 다가오게 되는데 그 이유는 등대의 본 기능은 밤에 빛을 발하기 때문이다.
등탑에 불이 들어 오는 시간에 등대를 보면 웬지 모르게 흐믓한 생각마저 들고 거기에 주변 조명이 어우러진다면 더욱 아름답게 보인다.
이런 체험을 24시간 할 수 있는 목포항 건너편 어린이 바다 체험관의 입구에 설치된 등대는 조명이 어우러져 한층 밤을 아름답게 한다.
주소 : 전남 목포시 삼학로92번길 98
[해변/해수욕장]
경남 고성의 상족암은 지형적으로 해식애에 해당하며, 파도에 깎인 해안지형이 육지쪽으로 들어가면서 해식애가 보이며 암반층은 파식대이다.
상족암 앞의 파식대에는 공룡 발자국이 선명하게 찍혀 있는 발자국 화석이 있으며, 해식애 암벽은 시루떡처럼 겹겹이 층을 이루는 수성암이다.
모습이 밥상다리처럼 생겼다고 하여 상족이라고도 하고 여러 개의 다리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쌍족이라고도 부르며 암벽에 굴이 뚫려 있다.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5길 42-23
[365일]
바닷가는 사계가 아름다운 해변이 많지만 유독 녹색의 향연을 보여주는 파래의 색은 언제나 눈을 시원하게 해주는 묘한 마력이 있다.
원시림의 느낌을 주는 녹색의 향연이 펼쳐지는 바닷가에서 겨울이라기 보다는 여름의 느낌을 받는 것은 나만의 착각일까.
조만간 다가올 봄의 소식을 바다에서 주는 시원한 느낌의 녹색의 향연을 카메라에 담아 보았는데, 눈처럼 가슴속에 아름다움을 줄 듯 하다.
고성의 어느 바닷가에서
[숙박]
여행하다가 밤이 오면 하룻밤의 편안한 잠자리가 그날의 모든 피로를 풀어내게 되는데 여기에 바다가 보이고 직원의 친절함이 녹아든다면 최고일 듯 싶다.
여기에 케이블카 이용시 투숙객에 할인 혜택을 주고 있으며 간편한 조식과 커피가 무료로 제공되기에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 분들에겐 적합한 호텔이다.
사천의 친절을 모두 보여주듯 찾는 손님들에게 다시 찾는 기쁨을 주기에 만족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가성비가 뛰어난 호텔이기에 흡족할 것이다.
주소 : 경남 사천시 실안선창1길 50
예약 : 055-833-5100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천사대교를 건너 안좌도에 이르면 마지막 섬 자라도를 만나게 되는 자라도는 안좌도와 장산도라는 큰 섬을 위 아래로 두고 그 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자라도는 세 개의 섬이 하나로 만들어진 섬인데 방파제 공사로 하나의 섬이 된곳이며, 원래는 자라도, 증산도 , 휴암도로 이루어져 있다.
증산도 등대는 바다와 맞닿아 있어 입도하기가 어려운 위치이지만 지나가는 여객선에서 바라다 보이는 위치라 쉽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죄초 점등일 : 1994년 12월 3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자라리
[무인도서]
거제 방화도는 견내량의 중심부에 있다 보니 좌우로 선박이 다니게 되어 있고, 세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작은 안산암질 화산암 재질의 섬이다.
전체 길이 해보아야 650m 정도이니 작은 섬에 해당하며 지금은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서이기에 가끔 낚시하는 사람 외에는 사람을 볼 수 없다.
주변은 모래 해안과 육계사주 발달되어 있고 역사 등대가 서있는 쪽은 기암도 어느정도 형성 되어 있으며, 가을에는 예쁜 단풍이 들어 보기에 좋은 섬이다.
주소 : 경남 거제시 둔덕면 술역리 방화도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거제 방화도등대는 역사 철탑 등대로 자리를 지키다 현재는 2006년에 15m 높이의 새로운 등대가 건립되면서 철탑 등대는 견내량에서 쉬고 있다.
새로 건립된 신등대는 철탑 등대의 점멸로 이후부터 현재까지 방화도에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무인도서인 관계로 등대 역시 무인화된지 오래이다.
견내량의 중심에 서서 오랜 세월 역사와 함께 흐르고 있는 바다를 지키는 신등대의 역할 역시 견내량을 드나드는 선박의 길잡이가 되고 있다.
주소 : 경남 거제시 둔덕면 술역리 방화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