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도서]
동백도 등대는 몇해전 인천해수청에서 기존 등대는 1963년 축조돼 노후화한 데다 높이가 낮아 주변 수목에 가리는 등 등대의 기능에 문제가 있어 새로 재보수된 등대이다.
섬앤산을 하는 매니아들에게는 그리 낯설지 않은 섬이 동백이지만 현재는 여객선이 없어 멀리서 조망해야하는 섬이다.
하늘에서 보면 동백꽃이 피어난 모습이라 동백도라 불리운 것처럼 한송이 동백마냥 아담한 크기의 작은 섬이 동백도이다.
주소 : 인천시 옹진군 자월면 이작리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옹진군 동백도 정상에 있던 기존 등대는 1964년 축조돼 노후화와 기존 높이가 8.2m에 불과해 주변 수목에 가리는 등 등대의 기능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이를 헐고 2008년에 새로 증축한 등대가 지금의 무인 등대인데 인근 소야도 등대와 함께 해상의 암초 위치 및 안전 항로를 나타낸다.
동백도 섬 역시 바다 한가운데 동백꽃이 피어난 형상으로 준보전도서에 해당하며 전체 면적이 작아 등대외에는 들어서기 힘든 작은 섬이다.
최초 점등일 : 1964년 12월 20일
주소 : 인천시 옹진군 자월면 이작리
[평택 지방 해양수산청]
화성시에 속한 국화도는 옹진군과 화성시 사이에 있으며 간조에 걸어 들어 갈 수 있는 토끼섬과 매박섬을 안고 있는 작은 섬이다.
면적은 작지만 당진 장고항에서 배를 타고 20분 거리에 있지만 행정 구역상으로는 경기도에 속하며 조선 시대에 유배지였던 곳으로 유명했다.
작은 섬에 있는 방파제 높이나 규모는 파도와 바람이 쎈 탓에 높이가 제법 있고 그 견고함이 제주 강정을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질 듯 하다.
주소 : 경기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
[평택 지방 해양수산청]
화성시에 속한 국화도는 옹진군과 화성시 사이에 있으며 간조에 걸어들어갈 수 있는 토끼섬과 매박섬을 안고 있는 작은 섬이다.
면적은 작지만 당진 장고리항에서 배를 타고 20분 거리에 있지만 행정구역상으로는 경기도에 속하며 조선 시대에 유배지였던 곳으로 유명했다.
만화리에 속해 만화도로 불리다가 일제강점기에 국화리가 되면서 섬 이름이 바뀌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으며 갯가는 바위투성이고 해수욕장이 있다.
최초 점등일 : 2004년 11월 19일
주소 : 경기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
[유인도서]
화성시에 속한 국화도는 옹진군과 화성시 사이에 있으며 간조에 걸어들어갈 수 있는 토끼섬과 매박섬을 안고 있는 작은 섬이다.
면적은 작지만 당진 장고리항에서 배를 타고 20분 거리에 있지만 행정구역상으로는 경기도에 속하며 조선 시대에 유배지였던 곳으로 유명했다.
만화리에 속해 만화도로 불리다가 일제강점기에 국화리가 되면서 섬 이름이 바뀌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으며 갯가는 바위투성이고 해수욕장이 있다.
주소 : 경기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옹진군의 부도는 인천항 관문에 위치하고 있어 1904년 다른 지역보다 먼저 이곳 부도에 등대가 설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는 역사 등대이다.
그 위치의 중요성에 걸맞게 항로표지의 주요기능인 광파, 전파, 음파표지를 모두 갖추고 있으며, 등대의 등탑에는 오얏꽃 문양과 게 모양의 문양이 있다.
둥그런 원의 등대로 입구는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형태로 남아 있으며 오얏꽃 문양 아래 게의 문양이 새겨져 있어 한참을 바라보게 한다.
최초 점등일 : 1904년 4월
주소 : 인천시 옹진군 영흥면 외 산263
[무인도서]
옹진군의 부도는 인천항 관문에 위치하고 있어 1904년 다른 지역보다 먼저 이곳 부도에 등대가 설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는 역사 등대가 있는 섬이다.
이곳은 흡사 물오리가 두둥실 떠서 오수를 즐기는 듯 보인다하여 부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며, 도깨비가 많다고 하여 도깨비 섬이라고도 한다.
많은 도깨비를 쫓기 위해 도깨비가 제일 싫어하는 피와와 소금을 섞는다는 의미로 어민들은 부도를 피염도라고도 불렀다. 또한 인천항 관문에 위치하고 있어 1904년 다른 지역보다 먼저 등대가 설치되었다.
주소 : 인천시 옹진군 영흥면 외 산263
[유인도서]
거제 칠천도 앞바다에 있는 황덕도는 임진왜란부터 정유재란까지 숱한 과거 전쟁의 역사 중심에 있는 바다이자 많은 섬들을 안고 있다.
칠천도는 경남 거제 북단에서 서쪽 약 430m 해상에 위치한 작은 섬이며, 북동쪽 300m 해상에 부속 섬인 황덕도를 품고 있다.
예부터 옻나무가 많고 바다가 맑고 고요하여 방파제에는 언제나 많은 낚시인들이 붐비며 항구 오른쪽에 있는 방파제는 ㄱ자형 석축 방파제가 있다.
주소 : 경남 거제시 하청면 대곡리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거제 황덕도 등대는 60년대에 전형적으로 보이는 원형 등대에 둥그런 창문이 있는 등대이며, 전체적인 모양은 우뚝 솟은 탑과 비슷하다.
거제시 건축물 등록 문화재로 소개하고 있으며 옥개석이 올라가면서 작아지듯 상부로 올라가면서 내부로 들어가는 조금씩 점점 좁아지는 형태다.
꼭대기에는 원형 콘크리트 슬라브와 난간을 설치하고, 노출형 등명기를 달았으며 황덕도 등대는 등고 높이가 91m로 제법 높게 설치되어 있다.
최초 점등일 : 1968년 10월 4일
주소 : 경남 거제시 하청면 대곡리
[한국의 역사 등대]
거제 황덕도 등대는 60년대에 전형적으로 보이는 원형 등대에 둥그런 창문이 있는 등대이며, 전체적인 모양은 우뚝 솟은 탑과 비슷하다.
거제시 건축물 등록 문화재로 소개하고 있으며 옥개석이 올라가면서 작아지듯 상부로 올라가면서 내부로 들어가는 조금씩 점점 좁아지는 형태다.
꼭대기에는 원형 콘크리트 슬라브와 난간을 설치하고, 노출형 등명기를 달았으며 황덕도 등대는 등고 높이가 91m로 제법 높게 설치되어 있다.
최초 점등일 : 1968년 10월 4일
주소 : 경남 거제시 하청면 대곡리
[간이역 시간여행]
얼마 전 간이역을 배경으로 TV 예능프로그램이 선보이면서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간이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어슴프레한 기억을 떠올리게 하였다.
친근한 이미지의 배우 손현주를 명예 역장으로 내세워 사라져 가고 있는 간이역을 찾아가 숨겨진 사연을 소개하면서 진행하는 멋진 프로그램이었다.
화순의 능주역이 소개 되었는데 인근에 이미 폐쇄된 남평역 처럼 생활 문화속에 자리잡은 능주역의 모습은 서정을 함께 준 간이역이었다.
주소 : 전남 화순군 능주면 학포로 1896-10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통영 연대도 선착장에서 입도하여 선창길을 따라 출렁다리를 건너면 만나게 되는 작은 섬마을이 만지도인데 다리를 건너면 데크로 이어진 둘레길이 보인다.
오른쪽에 선착장을 두고 몇가구 되지는 않지만 보이는 벽마다 그려진 벽화를 보게 되면 예쁘다는 생각이 절로 들게 한다.
여느 섬마을 처럼 옛것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것은 보이지 않지만 나름 젊어지고 있는 섬이라는 것을 걸으며 알게 되는 곳이 만지도이다.
주소 : 경남 통영시 산양읍 연명길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