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의 바다 갈라짐]
아목섬은 이름 그대로 위에서 보면 물고기의 눈을 닮은 듯하여 이름 역시 아목으로 불리고 있으며 간조시에 육지와 연결되는 간석지형 섬이다.
섬 둘레에는 사주와 타포니 구조가 발달되어 있으며 현무암과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여름철에는 꼬시래기와 조개를 캐는 어민들이 임시로 들어와 살고 가는 작은 창고형의 건물이 여러동 있다.
간조로 열리는 섬인지라 육지에서 들어온 고라니가 산 정상부에는 식생하고 있으며 갯벌 체험과 조개 캐는 체험을 하는 여행객들로 주말에는 문전성시를 이루는 작은 무인도서이다.
주소 : 충남 서천군 마서면 죽산리 산 13-1
[무인도서]
보령 달벼슬섬은 주소가 없는 무인도서에 해당하며 장방형의 넓은 타원형의 안반으로 되어 있는 바위섬이고 연륙교 건설로 언제나 들어가 볼 수 있다.
간조시에는 섬 둘레를 모두 걸을 수 있으며 육지쪽은 공작이 날개를 펼친 듯한 모습을 하고 있고 서해를 바라 보는 쪽은 마치 거북이가 배를 드러내 놓고 하늘로 기어 올라가는 듯한 형상이 이채롭게 보인다.
섬 안쪽에는 작은 비석이 있고 간조시에는 이곳에서 조개를 캐는 여행객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연륙교에서 노을을 바라 보는 모습도 일품인 섬이다.
주소 : 보령시 웅천읍 독산리 789
[대구 경북 두루워킹투어]
영천의 자천 교회는 1903년 4월 권혁중이 설립한 교회로 현 교회당 건물은 그 해 10월에 건립되었다고 하는데 당시의 관련 자료나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이 건물은 우진각 지붕의 단층 목조 한옥 교회당으로 평면은 장방형으로 정면 2칸이고, 측면 4칸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 천장은 지붕틀이 그대로 노출된 연등천장이며, 지붕틀은 절충식의 트러스구조이다.
이 건물의 내부 공간 구성적 특징은 부재의 치목과 결구 수법 외에도 내부 열주에 의해 공간이 양분되어 있고, 열주 사이에 남·녀석을 구분하기 위해 칸막이를 설치하였던 흔적이 남아 있다.
주소 : 경북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773번지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밀양 영남루는 국보로 지정 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객사와 함께 모든 부속 시설이 소실되고, 이후 중창 및 중수를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영남루는 1844년 이인재가 밀양부사로 재임할 당시 대루의 규모를 확장하면서 동서에 각각 능파각과 침류각을 배치하고, 대루와 침류각을 연결하는 여수각을 설치하여 현재의 모습이 완성되었다.
영남루의 대루는 정면 5칸, 측면 4칸 장방형 평면의 대형 목조누각으로 7량가 구조이며 팔작 지붕에 부연을 사용한 겹처마에 처마 끝에는 막새를 달았으며 내부는 통칸으로 구성 후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았다.
주소 : 경남 밀양시 중앙로 324 영남루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밀양 영남루는 국보로 지정 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객사와 함께 모든 부속 시설이 소실되고, 이후 중창 및 중수를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영남루는 1844년 이인재가 밀양부사로 재임할 당시 대루의 규모를 확장하면서 동서에 각각 능파각과 침류각을 배치하고, 대루와 침류각을 연결하는 여수각을 설치하여 현재의 모습이 완성되었다.
영남루의 대루는 정면 5칸, 측면 4칸 장방형 평면의 대형 목조누각으로 7량가 구조이며 팔작 지붕에 부연을 사용한 겹처마에 처마 끝에는 막새를 달았으며 내부는 통칸으로 구성 후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았다.
주소 : 경남 밀양시 중앙로 324 영남루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고려시대 지방 유림의 공의로 최치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생사당을 창건하여 태산사라 하였고, 고려 말에 쇠약해졌다가 1483년에 정극인이
세운 향학당이 있던 지금의 자리로 이전되었다.
1696년에 최치원과 신잠의 두 사당을 병합한 뒤
무성이라고 사액되어 서원으로 개편되었으며,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으며, 이 서원은 1868년경 대원군의 서원 철폐시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되었다.
무성 서원을 둘러본 후 바로 앞에 있는 정읍 쌍화차로 유명한 섬그리고뜰에 들려보는 것이 좋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해외 등대 속의 시간여행]
폴란드 비엘리치카 소금 광산은 남부 크라쿠프 근처 비엘리치카에 있으며 신석기 때부터 고염수로부터 광산에서 소금이 생산되었다.
광산의 깊이는 327미터에 이르고 오랜 기간동안 채금했지만 떨어지는 소금 가격과 세계적으로 소금 광산의 범람으로 인해 상업용 소금 채굴은 1996년 중단되었다.
현재 폴란드의 공식 역사 기념물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많은 관광객이 오고 있으며 지금은 광산 전체가 리모델링 되어 명소로 자리 잡았다.
크라쿠프 갤러리아 부근에서 출발하는 304번 버스 이용. 또는 중앙역 인근에서 비엘리치카로 가는 미니 밴을 이용하면 된다.
주소 : 폴란드 남부 크라쿠프 비엘리치카에 광산
[해외 등대 속의 시간여행]
Darßer 등대는 1991년 독일 발트해 연안의 북쪽 지점 인 Darßer Ort에 개장 한 Stralsund의 독일 해양 박물관으로 탈바꿈한 등대에 해당한다.
등대를 들어가기 위해서는 도보와 순환 열차를 이용하여 들어가지만 들어갈 때는 도보로 나올 때는 순활열차를 이용하면 보다 폭넓게 주변 경관을 모두 감상할 수 있는 장소에 해당한다.
박물관에는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많은 박제 동물과 발트해의 물고기와 무척추 동물이 있는 발트해 수족관은 주변 지역의 다양한 동물을 전시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848년
주소 : Western Pomerania Lagoon Area National Park
[해외 등대 속의 시간여행]
Darßer 등대는 1991년 독일 발트해 연안의 북쪽 지점 인 Darßer Ort에 개장 한 Stralsund의 독일 해양 박물관으로 탈바꿈한 등대에 해당한다.
등대를 들어가기 위해서는 도보와 순환 열차를 이용하여 들어가지만 들어갈 때는 도보로 나올 때는 순활열차를 이용하면 보다 폭넓게 주변 경관을 모두 감상할 수 있는 장소에 해당한다.
박물관에는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많은 박제 동물과 발트해의 물고기와 무척추 동물이 있는 발트해 수족관은 주변 지역의 다양한 동물을 전시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848년
주소 : Western Pomerania Lagoon Area National Park
[해외 등대 속의 시간여행]
Darßer 등대는 1991년 독일 발트해 연안의 북쪽 지점 인 Darßer Ort에 개장 한 Stralsund의 독일 해양 박물관으로 탈바꿈한 등대에 해당한다.
등대를 들어가기 위해서는 도보와 순환 열차를 이용하여 들어가지만 들어갈 때는 도보로 나올 때는 순활열차를 이용하면 보다 폭넓게 주변 경관을 모두 감상할 수 있는 장소에 해당한다.
박물관에는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많은 박제 동물과 발트해의 물고기와 무척추 동물이 있는 발트해 수족관은 주변 지역의 다양한 동물을 전시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848년
주소 : Western Pomerania Lagoon Area National Park
[간이역 시간여행]
경남의 벚꽃 명소로 유명해진 경화역은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에 있는 간이역으로 이미 업무가 중단되었으나 벚꽃 축제 기간에는 열차가 운행된다.
성주사 역과 진해 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철길따라 쭉 펼쳐진 벚꽃이 개화하면 꽃 터널을 이루어 아름다운 간이역으로 탈바꿈한다.
벚꽃이 만발한 철길 위를 자유롭게 거닐 수 있으며, 벚꽃이 낙화할 때는 열차에 흩날리는 벚꽃이 환상적인 낭만을 느끼게 해주어 많은 드라마와 영화의 단골 촬영지에 속한다. 군항제 기간에만 일시적으로 여객업무를 재개하기도 하여 이 곳을 지나는 열차들은 모두 서행 운전을 하여 봄 날의 낭만을 보여 준다.
주소 :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
[간이역 시간여행]
경남의 벚꽃 명소로 유명해진 경화역은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에 있는 간이역으로 이미 업무가 중단되었으나 벚꽃 축제 기간에는 열차가 운행된다.
성주사 역과 진해 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철길따라 쭉 펼쳐진 벚꽃이 개화하면 꽃 터널을 이루어 아름다운 간이역으로 탈바꿈한다.
벚꽃이 만발한 철길 위를 자유롭게 거닐 수 있으며, 벚꽃이 낙화할 때는 열차에 흩날리는 벚꽃이 환상적인 낭만을 느끼게 해주어 많은 드라마와 영화의 단골 촬영지에 속한다. 군항제 기간에만 일시적으로 여객업무를 재개하기도 하여 이 곳을 지나는 열차들은 모두 서행 운전을 하여 봄 날의 낭만을 보여 준다.
주소 :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