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의 바다 갈라짐]
신안 퍼플교는 반월도와 박지교를 목교로 연결하여 육지가 된 보라색 섬이 되어 연결된 섬 속의 섬인 노루섬 역시 간조에 맞추어 걸어갈 수 있는 섬이 되었다.
고도가 낮아 간조에 쉽게 돌아볼 수 있는 섬이며 주변 해안가는 해식애와 시스택, 절리가 발달되어 있으며 먼바다를 향한 쪽에는 앙상하게 드러난 소나무의 뿌리가 세월감을 더해준다.
어찌보면 주변 청도와 후도가 인접하여 여러 종의 백로들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고 있는 섬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보존 관리지역이나 사유지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반월리 산 200
[무인도서]
신안 퍼플교는 반월도와 박지교를 목교로 연결하여 육지가 된 보라색 섬이 되어 연결된 섬 속의 섬인 노루섬 역시 간조에 맞추어 걸어갈 수 있는 섬이 되었다.
고도가 낮아 간조에 쉽게 돌아볼 수 있는 섬이며 주변 해안가는 해식애와 시스택, 절리가 발달되어 있으며 먼바다를 향한 쪽에는 앙상하게 드러난 소나무의 뿌리가 세월감을 더해준다.
어찌보면 주변 청도와 후도가 인접하여 여러 종의 백로들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고 있는 섬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보존 관리지역이나 사유지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반월리 산 200
[우리나라 바다 조형물]
정읍 칠보의 서원등대는 섬 그리고 뜰에서 세운 등대 조형물로 5색 조형물이 더해져 칠흙 같은 어둠을 밝혀주는 등대 조형물이며 야생 동물들로부터 밤 중에 씨앗과 채소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다.
인근 무성서원의 이름 중 서원과 등대 아래는 실재 바다에 나갈 수 있는 보트를 두어 서쪽을 향하는 서범호라는 이름으로 칠보 들녘을 밝히고 있다.
또한 주변 경관은 봄에는 유채가 노란색과 보라색으로 피어나고 여름에는 키작은 해바라기가 피어나 삭막함이 아닌 꽃이 있는 칠보가 되었다.
최초 점등일 : 2022년 12월 15일
주소 : 전북 정읍시 칠보면 원촌리 유채밭
[무인도서]
여수시에 속하는 머그섬은 여자만 입구 적금도 둔병도 사이 해역에 위치한 작은 바위섬이며 타원 형태로 이루어진 매우 작은 섬이지만 등대가 서 있다.
등대섬인 머그섬은 인터넷 검색으로도 찾아 보기 힘들 정도로 무명의 무인도서이지만 등대가 서 있는 위치로 보면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섬이라 할 수 있다.
주로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백악기 안산암징 응회암인지라 멀리서 보면 포도주 빛깔이 보이며 풍화 침식 작용을 받아 갯바위는 염풍화혈이 분포되어 있으며 이름 역시 영어 이름 같아 이국적인 맛이난다.
주소 : 전남 여수시 화정면 적금리 산4
[무인도서]
여수 역만도는 최고봉은 218m인 바위섬이지만 주변 풍경이 아름답고 낚시가 잘되어 꾸준히 사람들이 드나는 섬에 해당하지만 작년에 거문도 주변 갯바위 낚시를 금지하여 민원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봉우리를 중심으로 해안 쪽으로 경사가 급한 편이며, 특히 동쪽 칼바위 아래로는 직벽에 가까우며 섬 주변에는 흰여·고래여·형제여·보찰여 등이 발달해 있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중성 및 염기성 심성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해안에는 많은 해식애와 해식동이 나타난다. 기후는 대체로 온화하고 비가 많이 내린다. 우거진 밀림과 가파른 벼랑으로 섬 둘레로 왕래가 불가능하며, 해식애와 해식동이 발달하였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 산 1761-1
[기적의 바다 갈라짐]
신안 일금도는 천사대교를 건너 처음 만나는 암태도를 지나 다리를 건너만나는 팔금도에서 다시 천사대교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들어가다 보면 맨 끝에서 만나는 거문도 내 노두길을 건너 간조에만 들어갈 수 있는 깊은 섬 속에 위치하고 있다.
거문도 역시 알려지지 않은 섬이지만 이곳에서 간조에만 건너는 이목섬 끝자락에 머리섬에 해당하는 곳의 옆에 위치하고 있는 섬이다.
이렇게 깊이 있다 보니 찾기도 힘들지만 물때가 맞지 않으면 애초에 들어오지 못하기에 깊은 오지 섬이라고 할 수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팔금면 이목리 산 39
[무인도서]
신안 일금도는 천사대교를 건너 처음 만나는 암태도를 지나 다리를 건너만나는 팔금도에서 다시 천사대교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들어가다 보면 맨 끝에서 만나는 거문도 내 노두길을 건너 간조에만 들어갈 수 있는 깊은 섬 속에 위치하고 있다.
거문도 역시 알려지지 않은 섬이지만 이곳에서 간조에만 건너는 이목섬 끝자락에 머리섬에 해당하는 곳의 옆에 위치하고 있는 섬이다.
이렇게 깊이 있다 보니 찾기도 힘들지만 물때가 맞지 않으면 애초에 들어오지 못하기에 깊은 오지 섬이라고 할 수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팔금면 이목리 산 39
[기적의 바다 갈라짐]
서천 당섬은 해수욕장에 속해 있어 간조가 조금만 시작되어도 모래사장을 통하여 편하게 입도가 가능하기에 육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무인도서이다.
매년 보름 즈음에 마을에서는 당산제를 지내고 있기에 섬이름이 당섬이라 부르고 있으며 바다쪽을 향한 곳에 벽화마냥 음각으로 출산하는 모양이 있어 다산을 기원하는 느낌도 든다.
주변 섬에는 모두 5개의 섬이 있는데 이 모든 섬들이 간조에는 모두 돌아 볼 수 있어서 날씨가 좋은 날은 하루 코스로 바닷길을 걸어 보는 이색적인 곳이다.
주소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선도리
[무인도서]
서천 당섬은 해수욕장에 속해 있어 간조가 조금만 시작되어도 모래사장을 통하여 편하게 입도가 가능하기에 육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무인도서이다.
매년 보름 즈음에 마을에서는 당산제를 지내고 있기에 섬이름이 당섬이라 부르고 있으며 바다쪽을 향한 곳에 벽화마냥 음각으로 출산하는 모양이 있어 다산을 기원하는 느낌도 든다.
주변 섬에는 모두 5개의 섬이 있는데 이 모든 섬들이 간조에는 모두 돌아 볼 수 있어서 날씨가 좋은 날은 하루 코스로 바닷길을 걸어 보는 이색적인 곳이다.
주소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선도리
[유인도서]
소안도는 모 자동차 광고에 나온 이후에 독립의 섬으로 더욱 알려진 섬 중에 하나이며 작은 섬마을 전체가 독립투사일 정도로 기억해야 할 섬이다.
요즘처럼 친일 이야기가 나오는 시기에 한번쯤 다녀오고 나면 나라 사랑이 더욱 절실하게 더욱 독립의 섬이 아닌가 한다.
월항 마을과 이목 마을은 바다를 막아 둑을 형성하였기에 선착장이 없는 바다 마을이라고 하면 맞을 성 싶은 태극기 마을이다. 선착장에서부터 태극기를 보며 걷기를 시작하면 독립기념관까지 이어지게 된다.
주소 : 전남 완도군 소안면 월항마을
[무인도서]
소등섬은 전체가 하나의 큰바위로 이루어져 있어 예전부터 득량만을 넘나드는 거친 파도로부터 마을을 지켜주는 천연 방파제 역할을 해왔다고 한다.
현재는 섬 우측으로 길게 이어진 방파제와 더불어 가 포구 역할까지 하고 있지만 만조에는 들어가지 못하는 아쉬움도 있는 섬이다.
이름을 보면 호롱에서 발하는 작은 불빛을 의미하며, 마을 주민들은 먼 바다에 고기잡이를 나간 가족들을 위해 호롱불을 켜놓고 무사귀환을 빌었다고 해서 소동도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주소 : 전남 장흥군 용산면 소등섬
[섬 촬영지 시간여행]
한국 영화 중에 가족사를 다룬 영화가 주를 이루던 30여년전에 촬영한 축제는 죽음을 바탕으로 축제화 하려던 임권택 감독의 애정이 묻어나는 영화다.
40대의 유명작가 이준섭(안성기 분)은 시골에 있는 노모가 돌아가셨다는 연락을 받으면서 영화는 시작되고 돌아가신 어머님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자식들간의 분쟁이 주가 되고 있다.
준섭의 도착에 따라 장례가 시작되고 시집와서 지금까지 시어머니를 모셔온 준섭의 형수는 시어머니와의 갈등을 풀어 놓는다. 가족간의 갈등은 13년전 집돈을 훔쳐 가출한 준섭의 이복조카 용순(오정해 분)이 나타나면서 깊어진다.
주소 : 전남 장흥군 용산면 상발리 산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