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구/선착장]
조도군도 내에 두번째로 큰섬이 바로 상,하조도이다 보니 작은 선착장이 조도군도 내에 가장 많이 설치 되어있고 당도항 역시 완공된지 8년 정도 되었다.
태풍시에 작은 어선들의 피난처를 제공해주고 어민들의 작업을 수월하게 해주는 역할도 있지만 낚시꾼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좋은 장소가 되었다.
썰물시에는 평범한 선착장이지만, 만조시에는 바닷물이 청정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마음이 청결하게 되는 그런 장소가 된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당도
[항구/선착장]
상조도 내 송도 항구는 여행객이 오는 항구이기 보다는 주변 다도해에서 양식을 하는 어민들의 손발이 되어주는 작은 항구라고 할 수 있다.
방파제 앞 바다에 김 양식을 하는 어선들이 주로 보이며 가끔 지나가는 철부선이 보이긴 하지만 한적하기 그지없는 항구이다.
썰물에 송도를 돌면 조도대교가 한눈에 보이며 하조도를 마주 보고 있어 진도로 나가는 막배 시간에 맞추어 둘레길을 걸어볼 것을 권하고 싶은 곳이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송도
[항구/선착장]
맹성선착장은 여객선이나 상조도에 인접한 섬을 드나드는 정기 여객선이 도선하는 선착장이 아니지만 어민들의 손발이 되어주는 작은 선착장이다.
하조도에서 입도하여 조도대교를 건너 당도를 지나 맨 처음 만나는 마을로 들어서면 맹성항도를 바라보며 길게 이어진 방파제가 바로 맹성선착장이다.
평소에는 주민들은 길에서 해조류를 말리는 작업을 하는 모습이 보이거나 방파제에 텐트를 치고 낚시를 하는 꾼들이 많이 오는 방파제이다.
주소: 전남 진도군 조도면 맹성리
[항구/선착장]
고창을 포함한 우리나라 서해안의 갯벌은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로 세계유네스코 문화 유산에 등재된 갯벌을 보유하고 있다.
동호항은 오랜 세월동안 쌓인 모래와 갯벌로 시간이 흐를수록 배가 드나들기에 부적합하여 지금은 항구의 기능보다는 체험 학습장의 장소가 되었다.
항구에 주선한 어선은 큰 배는 찾아보기 힘들고 소형의 어선만이 주를 이루며, 시간이 거듭할수록 갯벌이 쌓이고 수심이 낮아져 입출항이 어려워지고 있다.
주소 : 전북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
[항구/선착장]
봄에는 주변이 온통 벚꽃이 피어나 바다를 보며 꽃나들이를 할 수 있는 명소가 되는 곳이며 바다를 바라보며 꽃에 취하게 되는 나루터이다.
우리나라는 봄에 전국 어디를 가던 벚꽃과 유채꽃이 피어나 많은 인파가 붐비고 있지만 좌치나루터는 항구와 벚꽃이 어우러진 보기 드문 장소이다.
노을이 드는 광활한 갯벌을 배경으로 벚꽃이 피어날 즈음에는 한폭의 수채화를 보는 듯한 아름다운 풍경에 노을까지 더해지는 날은 황홀함마저 느낀다.
주소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용기리
[항구/선착장]
오래전부터 전장포항은 숙성한 새우젓으로 유명한 토굴이 있을 정도로 많은 이들에게 알려져 있고 인근에 칠산 앞바다의 육젓이 이곳 전장포 토굴에서 숙성된 뒤 출하하여 공급할 정도로 유명한 항구이다.
또한 새우잡이 배들이 지나가면 갈매기들이 배를 호위하듯 무리지어 위에서 날으는 광경은 사진가들에게 작품 소재가 될 정도로 인기가 높다.
지금은 토굴로 이어지는 길을 데크로 만들기 위해 공사중이어서 들어가 보지 못하지만 완공 후에는 또다른 관광 명소로 자리 잡을 것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임자면 전장포
[항구/선착장]
신안군 임자도에 있는 진리항은 연륙교로 이어지기전까지는 임자도 주민들의 손발이 되어 육지로 나가게 한 중요한 위치의 선착장이었다.
지난 5월에 연륙교로 이어져 항구로서의 역할이 축소되어 점차적으로 쇠락의 길로 가겠지만 모든 섬이 육지가 되면 당연한 일이겠지만 한쪽으로는 아쉬움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주변 어민들의 주선과 인근 차량이 가지 못하는 작은 섬으로 들어가기 위한 작은 어항으로서는 여전히 존재할 항구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임자도 진리선착장
[항구/선착장]
지난 5월에 임자도는 5년간의 연륙교 공사가 끝나 완공되어 육지로 바꼈고, 많은 섬의 변화가 예고 되고 관광객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5월은 튤립의 섬으로 알려져 있듯이 많은 관광객이 개화를 보기 위해 몰려 들었고 수시로 드나드는 승용차로 인하여 활성화 된 섬으로 바뀌었다.
또한 물류가 철부선을 이용하여 들어왔지만 화물 운송이 용이해져 섬 주민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해주고 더욱 발전하는 섬으로 바낄 예정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임자면 임자로 87-37
[항구/선착장]
고창 구시포항은 곁에 드넓은 모래사장과 갯벌을 안고 있는 서해안의 명소이기도 하지만 채석강과 더불어 노을이 아름다운 항구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방파제 등대 2개 새로 설치 되었으며 방파제로 가는 길에 벽화와 착시 그림이 더해져 방문객에게 보는 재미를 더하여 주었다.
요즘은 항구 입구 준설 공사로 다소 소음이 있긴 하나 볼거리가 많고 가막도의 지질학적 형성 과정을 볼 수 있어 한나절 보내기에 좋은 항구다.
주소 : 전북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 984
[항구/선착장]
대체로 민물 장어는 민물과 바다물이 만나는 하구언 강가에서 주로 잡히는데 고창이 바로 그런 수로를 많이 안고 있는 고장이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어린 치어잡기와 민물장어를 잡는 모습을 흔하게 보게 되는데 고리포 수로에서도 역시 그런 어부를 쉽게 만나게 된다.
고리포길 수로 안쪽은 군부대 상주 지역이라 해변가로 들어가기 힘들지만 썰물에는 해변까지 걸어서 들어갈 수 있고 작은 어선들이 주로 도선을 하고 있다.
주소 : 전북 고창군 상하면 고리포길
[항구/선착장]
황무지가 변하여 황금의 섬이 된 곳이라 하여 황도라 불리며, 여름이 되면 온통 누런 보리밭으로 변한다 하여 황도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서행의 섬 중에서 가장 큰 풍어제를 올리는 섬이며,음력 정월 초이튿날 붕기풍어제가 열리는 당집도 둘러볼 수 있다.
황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약 200여년 전으로 대천에서 청어를 잡기 위해 사람들이 이주하여 살았다고 한다.
주소 : 충남 태안군 안면읍 황도리
[항구/선착장]
대천항과 주변 섬들아래로 갈 수 있는 보령해저터널이 2021년 개통이 되고 나면 원산도항은 더욱 많은 사람들이 붐빌 항구가 되겠지만 현재는 연륙교의 연결로 여객은 인근 효자도를 왕래하는 철부선 외에는 없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육지로 연결되면 가장 먼저 쇠퇴하는 곳이 항구인데 역시나 원산도항도 마찬가지이고 인근 연안에서 고기잡이를 하는 어선의 주선지로 활용되고 있다.
원산도의 과거의 명성은 해저 터널 개통 이후로는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할 항구이다.
주소 : 충남 보령군 오천면 원산도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