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정읍시 칠보에 자리하고 있는 은석제는 작은 소류지이기에 마을 주민들은 방죽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지만 본래 이름은 은석제라고 부른다.
주변에는 세계 문화 유산인 무성서원이 있기에 많은 관광객이 오는 곳이며 여름에는 물놀이 테마 파크가 있어 어린 아이들을 둔 가족 단위의 피서객이 많이 찾는 장소이기도 하다.
은석제는 거의 옛 모습을 찾기 힘들지만 작은 소류지로 가끔 낚시하는 분들이 머물기도 하고 있고 발품을 팔면 지난 모습을 볼 수 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785-2
[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금산 보석 마을은 천년 된 은행 나무로 유명한 보석사와 봄이면 붉게 피어나는 홍도화와 하얗게 올라 오는 조팝 꽃이 이어서 피어나면서 봄에서 여름까지 꽃을 즐기는 마을이 곁에 있어 지나는 길에 만나게 되는 곳이다.
입구에는 정미소가 있으며 몇 가구 되진 않지만 옹기 종기 마을이 모여서 형성 된 곳이기에 한 눈에 마을 전경이 눈에 들어 오는 곳이기도 하다.
주민을 만나 잠시 이야기를 들어 보니 귀농한 분들이 몇년을 살다가 다시 도시로 떠나는 일이 빈번해서 요즘은 외지에서 귀농하는 분들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주소 : 충남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정미소 · 창고 빈티지가 흐르다]
흑암 정미소는 지금도 도정을 하고 있는 금산군 유일의 옛 모습을 갖춘 정미소에 해당하며 인근에 천년고찰인 보석사가 있어 도로명 주소 역시 보석사로에 있다.
주변이 온통 밭인지라 정미소의 역할이 없게 보이지만 인근 논 농사를 짓는 곳에서 꾸준히 도정을 맡기고 있었으나 지금은 도정을 멈추었다.
겉으로 보이는 양철과 문이 빈티지스럽게 세월을 이겨 내고 있었지만 조만간 철거 예정인 듯 하여 우리 옛 생활 문화의 한 모습을 소멸 시키는 느낌이 들어 씁쓸한 생각이 드는 정미소이다.
주소 : 충남 금산군 남이면 흑암리 316-4
[정미소 · 창고 빈티지가 흐르다]
금산 말굽 마을은 굽의 어원이 변하여 지금은 말골 마을이라 사람들이 부르고 있으며 마을 지형이 곡식을 계량하는 말과 같다 해서 말골 또는 두곡리라 부르기도 하며 오랜 세월이 흘러 온 마을이다.
말골 마을 입구에는 지금은 도정은 멈추었지만 마을의 모든 도정을 책임지던 작은 정미소가 있는데 이곳 역시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무너가고 있다.
그래서인지 마을 입구에는 치성을 드리고 마을의 안녕을 비는 돌탑이 세워져 있는데 그 모양이 제주의 방사탑과 흡사하지만 크기면에서 조금 작을 뿐이다.
주소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양곡리 643-4
[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금산 말굽 마을은 굽의 어원이 변하여 지금은 말골 마을이라 사람들이 부르고 있으며 마을 지형이 곡식을 계량하는 말과 같다 해서 말골 또는 두곡리라 부르기도 하며 오랜 세월이 흘러 온 마을이다.
말골 마을의 주산인 마을 뒷산은 덕기봉에서 둥근 금성체와 물결이 흐르는 모양의 수성체로 내려와 북두천마의 형상을 하고 있다 한다.
그래서인지 마을 입구에는 치성을 드리고 마을의 안녕을 비는 돌탑이 세워져 있는데 그 모양이 제주의 방사탑과 흡사하지만 크기면에서 조금 작을 뿐이다.
주소 : 충남 금산군 부리면 말골길 26 말골마을
[부산 울산 경남 그리움의 흔적]
함안 말이산 고분군은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국내에도 많이 알려지기 시작했고 고분군은 여항산 북쪽의 능선이 도항리 일대에서 구릉성의 야산에서 시작한다.
함안 고분군은 평원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말이산이라 부르며 행정 구역으로 도항리, 말산리에 해당하여 일명 도항리 고분군, 말산리 고분군이라 한다.
가야의 유적으로서는 최대급의 규모를 자랑하며, 아라 가야의 도읍지였던 가야읍 도항, 말산리 일원에 위치하며, 가야 문화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유적이다.
주소 : 경남 함안군 가야읍 고분길 153-31
[부산 울산 경남 그리움의 흔적]
함안 박물관은 선사 시대 문화를 토대로 기원전 후한 시기부터 신라에 멸망하는 6세기 중엽까지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아라 가야가 성립된다.
아라 가야는 변한 12국 중 하나인 안야국이 주변의 작은 나라를 병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고대 국가로, 함안을 중심으로 창원, 진주, 의령의 일부를 포함할 정도로 광활한 분지와 넓은 해안을 영토로 하였다.
4세기 전후에 더욱 성장한 아라 가야는 5세기 무렵 말이산의 크고 높은 고분과 우수한 유물을 만들 정도로 정치·경제·문화적 발전에 사용되었던 유물을들을 전시를 통하여 알리고 있다.
주소 : 경남 함안군 가야읍 고분길 153-31
[대구 경북을 돌아보다]
문화 유산의 보고인 경주 감포에는 일제 강점기에 신사가 그대로 남아 있어 당시 일본인들의 생활상을 그대로 엿볼 수 있는데 경주가 일본인들의 집단 거주지였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일본 신사는 소록도와 감포 그리고 광주 송정에는 신사의 형태를 그대로 두고 현재 사철로 바낀 신사가 남아 있다.
신사 주위에는 고장을 지키는 신의 숲으로 불릴 정도로 숲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당시의 형태는 거의 사라 지고 가미키(神木)라고 하는 명목으로 시메나와를 연결하고 있는 것도 있다.
주소 : 경북 경주시 감포읍 감포항 해국길
[철도 문화재 역사 기행]
1966년 마을 주민들이 지은 국내 유일의 역사이다. 목구조에 슬레이트 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하고사리역이 위치한 지역은 원래 마을의 중심지였으나 석탄 채굴을 위해 도계광업소가 들어서면서 석탄 채굴 장소와 가까운 곳으로 역사가 옮겨졌다.
그에 따라 마을 사람들은 역사 건립의 필요성을 느끼고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황토와 목재를 이용하여 역사를 완공한 뒤 하고사리역이라는 이름으로 역을
운영했다.
2006년 말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철거 계획에 대하여 주민들이 적극 반대하여 보존하게 된 근대문화유산이다.
주소 :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고사리 60번지
[기적의 바다를 걷다]
부사도는 거북이 모양을 닮아서 어민들은 모두 거북섬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한 때는 간조에만 걸어들어갔지만 지금은 육지에서 데크로 이어져 만조에도 들어가 볼 수 있는 섬이 되었다.
지도읍 염전과 농경지는 일찍부터 주위 갯벌의 여러 작은 섬들을 간척해 붙여서 이뤄졌으며 지도읍 남쪽 갯벌 한 가운데 타원형으로 떠 있는 섬이 바로 부사도이다.
거북이 한 마리가 떠 있는 듯하고 큼지막한 솥뚜껑을 하나 올려놓은 듯, 짙푸른 솔 숲으로 덮인 아담한 섬이 밀물 때 탁한 물빛, 썰물 때 회갈색 너른 갯벌과 상큼하게 대비를 이룬다.
주소 : 전남 무안군 지도면 읍내리 산98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
부사도는 거북이 모양을 닮아서 어민들은 모두 거북섬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한 때는 간조에만 걸어들어갔지만 지금은 육지에서 데크로 이어져 만조에도 들어가 볼 수 있는 섬이 되었다.
지도읍 염전과 농경지는 일찍부터 주위 갯벌의 여러 작은 섬들을 간척해 붙여서 이뤄졌으며 지도읍 남쪽 갯벌 한 가운데 타원형으로 떠 있는 섬이 바로 부사도이다.
거북이 한 마리가 떠 있는 듯하고 큼지막한 솥뚜껑을 하나 올려놓은 듯, 짙푸른 솔 숲으로 덮인 아담한 섬이 밀물 때 탁한 물빛, 썰물 때 회갈색 너른 갯벌과 상큼하게 대비를 이룬다.
주소 : 전남 무안군 지도면 읍내리 산98
[무인도서를 만나다]
부사도는 거북이 모양을 닮아서 어민들은 모두 거북섬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한 때는 간조에만 걸어들어갔지만 지금은 육지에서 데크로 이어져 만조에도 들어가 볼 수 있는 섬이 되었다.
지도읍 염전과 농경지는 일찍부터 주위 갯벌의 여러 작은 섬들을 간척해 붙여서 이뤄졌으며 지도읍 남쪽 갯벌 한 가운데 타원형으로 떠 있는 섬이 바로 부사도이다.
거북이 한 마리가 떠 있는 듯하고 큼지막한 솥뚜껑을 하나 올려놓은 듯, 짙푸른 솔 숲으로 덮인 아담한 섬이 밀물 때 탁한 물빛, 썰물 때 회갈색 너른 갯벌과 상큼하게 대비를 이룬다.
주소 : 전남 무안군 지도면 읍내리 산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