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역 시간여행]
경남의 벚꽃 명소로 유명해진 경화역은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에 있는 간이역으로 이미 업무가 중단되었으나 벚꽃 축제 기간에는 열차가 운행된다.
성주사 역과 진해 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철길따라 쭉 펼쳐진 벚꽃이 개화하면 꽃 터널을 이루어 아름다운 간이역으로 탈바꿈한다.
벚꽃이 만발한 철길 위를 자유롭게 거닐 수 있으며, 벚꽃이 낙화할 때는 열차에 흩날리는 벚꽃이 환상적인 낭만을 느끼게 해주어 많은 드라마와 영화의 단골 촬영지에 속한다. 군항제 기간에만 일시적으로 여객업무를 재개하기도 하여 이 곳을 지나는 열차들은 모두 서행 운전을 하여 봄 날의 낭만을 보여 준다.
주소 :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
[간이역 시간여행]
경남의 벚꽃 명소로 유명해진 경화역은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에 있는 간이역으로 이미 업무가 중단되었으나 벚꽃 축제 기간에는 열차가 운행된다.
성주사 역과 진해 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철길따라 쭉 펼쳐진 벚꽃이 개화하면 꽃 터널을 이루어 아름다운 간이역으로 탈바꿈한다.
벚꽃이 만발한 철길 위를 자유롭게 거닐 수 있으며, 벚꽃이 낙화할 때는 열차에 흩날리는 벚꽃이 환상적인 낭만을 느끼게 해주어 많은 드라마와 영화의 단골 촬영지에 속한다. 군항제 기간에만 일시적으로 여객업무를 재개하기도 하여 이 곳을 지나는 열차들은 모두 서행 운전을 하여 봄 날의 낭만을 보여 준다.
주소 :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
[간이역 시간여행]
과거 평은역은 영주댐 공사로 인하여 수몰되어 과거의 아름다웠던 모습은 보기 힘들지만 실향민의 애환이 담긴 평은역을 새롭게 복원하여 영주댐 중심부에 위치한 섬에 자리하였다.
평은역을 가기 위해서는 일반 다리와 출렁 다리를 건너 도보로 20분 정도 걸으면 영주댐 모습과 새로 생긴 다리를 건너면서 가게 된다.
드라마나 영화에 나오는 평은역 모습은 이제는 찾아 볼 수 없는 과거의 모습이고 지금은 영주댐 건설로 수몰된 전국 유일의 수몰된 간이역이 되었다.
주소 : 경북 영주시 평은면
[간이역 시간여행]
단풍과 동학 혁명의 발생지인 정읍역을 출발하여 광주역까지 무궁화를 타 보며 정읍역, 내장산역, 장성역, 극락강역을 지나 종착역인 광주역에 내렸다.
무궁화는 통학하는 시민들의 손발이 되어 주는 고마운 열차라고 할 수 있는데 이마저 폐선이 된다면 아마도 대체 수단으로 버스를 이용 하겠지만 한 겨울 눈이 많이 내리는 날은 안전한 교통 수단이 사라질 듯 하다.
그렇기에 낡은 무궁화의 겉모습만 보고 고마움을 저버린다면 우리는 살아가면서 옛 것에 대한 향수를 더욱 잃어 버릴지도 모른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서부산업도로 305
[무인도서]
동섬은 육지인 마을에서 남동으로 10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하루 2차례의 물빠짐을 경험할 수 있는 작은 섬에 해당한다.
간조시 신비의 바닷길이 열려 많은 관광객들이 동섬을 찾고 있긴 하지만 주변 둘레를 걷는 데크는 공사중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바닷길이 짧아 빠른 시간에 돌아볼 수 있는 섬이다. 동섬과 함께 인근에 창원 해양 공원이 있어 주말에 많은 관광객들이 이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동섬의 고도는 약 12m이고, 섬의 동쪽과 남쪽 해안은 해식애가 발달한 암석 해안을 이루고 섬의 서쪽과 동쪽 해안에는 파식대와 시스택이 발달했다.
하루에 두 번 간조 시에 약 100m에 이르는 육계사주가 나타나며, 이로 인해 동섬과 육지가 연결되고 상부에는 곰솔림이 나타나며, 그 아래에 관목림이 발달한 무인도서이다.
주소 : 경남 창원시 진해구 명동
[기적의 바다 갈라짐]
동섬은 육지인 마을에서 남동으로 10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하루 2차례의 물빠짐을 경험할 수 있는 작은 섬에 해당한다.
간조시 신비의 바닷길이 열려 많은 관광객들이 동섬을 찾고 있긴 하지만 주변 둘레를 걷는 데크는 공사중으로 이용할 수 없으며 바닷길이 짧아 빠른 시간에 돌아볼 수 있는 섬이다. 동섬과 함께 인근에 창원 해양 공원이 있어 주말에 많은 관광객들이 이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동섬의 고도는 약 12m이고, 섬의 동쪽과 남쪽 해안은 해식애가 발달한 암석 해안을 이루고 섬의 서쪽과 동쪽 해안에는 파식대와 시스택이 발달했다.
하루에 두 번 간조 시에 약 100m에 이르는 육계사주가 나타나며, 이로 인해 동섬과 육지가 연결되고 상부에는 곰솔림이 나타나며, 그 아래에 관목림이 발달한 무인도서이다.
주소 : 경남 창원시 진해구 명동
[부산 지방 해양수산청]
진해 명동 마리나 방파제 등대는 해양 주소지는 진해이지만 관할은 부산청 관리이고 최근에 요트 모양의 디자인으로 건설하고 백색으로 도색하였다.
일반적으로 마리나 방파제 등대는 사설 등대에 해당하며 디자인 역시 선박과 연관된 모양으로 건설되고 있으며 파도를 헤치고 앞으로 나아가는 요트의 모양이라 예쁜 모습으로 서 있다.
최초 점등일은 짧은 이력이지만 음지도와 연륙교로 이어진 우도, 읍지도를 걸어서 돌아볼 수 있으며 태양광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솔라타워 전망대가 여행객을 불러 모으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17년 2월 7일
주소 : 경남 창원시 진해구 명동
[간이역 시간여행]
경북 양원역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역사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임시 역사 같은 느낌이 드는 곳이고 1988년 이곳 원곡 마을 주민들의 염원으로 탄생한 작은 간이역에 해당하며 국내 최초의 민자 역사이다.
정식 철도역으로 등록 되지 않은 역사이지만 무궁화호가 오고갈 뿐만 아니라 협곡 열차와 순환 열차가 정차한다. 지역 주민들이 농산물과 먹을거리를 파는 진풍경이 이색적인 곳이기도 하다.
승부역은 인근에 작은 마을이 있을 뿐 주변에는 아무것도 없어 역 이용객은 사실상 전무했으나, 1999년 환상선 눈꽃 순환 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하면서 자동차로는 접근할 수 없는 대한민국에서 최고의 오지역이라는 이름의 역이다.
주소 : 경북 봉화군 소천면 분천리 113-2
[대구 경북 두루워킹투어]
경북 산타 마을은 분천역에 위치한 곳으로 백두대간이라는 자연 자원과 동심을 자극하는 산타클로스 이미지를 접목해 1년 내내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마을이 조성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산타 마을은 2016년 한국 지역 진흥 재단 겨울 여행지 선호도 조사 2위를 할 정도로 겨울 관광지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문체부 한국 관광의 별에 선정될 정도로 야경과 더불어 멋진 겨울 관광지가 되었다.
마을 내에는 산타 열차, 눈썰매장, 산타 우체국 등 가족과 함께 즐길만한 체험 거리가 다양하며 야경 역시 매일 크리스마스 느낌이 드는 장소이다.
주소 : 경북 봉화군 소천면 분천길 49 분천역
[간이역 시간여행]
경북 분천역은 여우천에서 내려오는 냇물이 갈라져 낙동강으로 흐른다 하여 부내, 분천이라고 불린데서 유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는 간이역이다.
분천역은 영동선 7개의 역 중 중간에 위치하고 있고, 영주에서 철암역까지 구간에 해당하며 무궁화호 열차가 1일 8회, 동해 산타 열차가 1일 2회, 백두대간 협곡 열차가 1일 4회 운행하고 있다.
과거에는 높은 협곡을 오르 내리는 노선이기에 브이트래인 처럼 앞 뒤서 끌어 주는 역할을 했던 곳이지만 지금은 관광 열차로 변신하여 이러한 풍경은 찾아 볼 수 없는 노선이 되었다.
주소 : 경북 봉화군 소천면 분천길 49
[간이역 시간여행]
영주서 철암까지 운행되는 기관차는 4459호와 4460호로서 백호를 모티브로 도색되어 멀리서 보면 백호가 다가오는 모습으로 보이는 기관차이다.
객차의 경우는 옛 무궁화호 고속 소화물차를 개조하여 통유리를 통해 양쪽으로 모두 주변 풍경을 볼 수 있으며 분천역 방향으로 갈 때는 단(斷)폐단, 철암역 방향으로 갈 때는 장(長)폐단으로 운행한다.
철암역과 분천역에서 기관차가 객차를 떼고 한쪽 끝으로 가서 다시 후진하여 연결하는 작업을 하여 운행하지만 전철화된 구간인데 전기 기관차가 없는 것이브이 트래인의 특장 중에 하나이다. 객실 특징 중에 하나는 터널을 통과할 때 야광 스티커가 천정에 붙여 있어 별을 보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주소 : 경북 영주시 선비로 58-2 영주역
[강원도 두루워킹투어]
태백 철암역 앞에서 좌측으로 올라가면 탄광 시절 생활사를 재현하여 보여 주는 탄광 역사촌은 옛 탄광촌 주거 시설을 복원한 생활사 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 탄광이 주가 되던 시절의 생활 모습들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퇴근 후 탁주를 즐기던 광부들의 모습에서 연탄과 구공탄을 만들어 보는 체험 시설까지 갖추어져 있어 가족 나들이에 적합한 장소가 되었다.
태백이 대한민국 석탄 산업의 중추 역할을 한 시절로 떠나는 시간 여행지이자 1970년대 철암 지역의 생활사가 곳곳에 남아 있음에 이곳 태백이 마치 기회의 땅이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철암 탄광 역사촌은 11개 건물 가운데 총 6개 건물을 전시 공간으로 꾸몄다.
주소 : 강원도 태백시 동태백로 406